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cord Management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국가기록물 관리의 현황에 관한 발전적 제언

  •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 문헌정보학전공)
  • Received : 2003.03.10
  • Accepted : 2003.03.15
  • Published : 2003.03.30

Abstract

In this research the issues of record management of national archive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1) improving the status of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2) constructing a new national archives, 3) revising the law on the record management, 4) creating qualifications for a professional administrator for Archivist. 1) In order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it is very urgent to create a systematic mechanism in which the Central Archives oversees and administers public archives(documents) collected from all the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under the Administration but also the legislature and the judicial authorities. 2) This paper suggests that a new National Archives should be a symbolic building representing Korea as archives. Considering the fact that Presidents archives will be a part of this new National Archives, it also suggests that artistic and decorative pieces which embody Korea's representative archives or people should be included in the building. The budget for these should be supplied by the government. 3) This paper looks at the matter of revising the law on Record Management in two respects: (1)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2)making it obligatory to produce archives not open to the public, or making a protection clause for secret archive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will be able to collect all the public archives from all the public institutions, and to oversee and administer them by revising the 5th and 6th clauses of the current law on the record management. It also proposes that some laws which make it obligatory to produce archives for documents not open to the public, and which protect those secrecy. 4) Regarding the qualifications for a professional administrator for the record management, this paper suggests lowering the qualification a little to the bachelor's degree of the record management. Also it sugges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record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and acknowledging their qualifications after a certain period of training at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or something like that. In addition, it classifies the ranks of the professional administrators according to their qualificatio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기록물 관리의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언한 논문이다. 1)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위상의 제고(提高) 문제, 2)국가기록물 보존서고의 신축 관련 문제, 3)기록물관리법의 법령 개정 보완의 문제, 4)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기준 문제, 1)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행정부는 물론이고 입법부와 사법부 등의 산하에 있는 모든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공공기록물들을 총합(總合) 수집하여 중앙기록물관리기관에서 명실상부하게 종합적으로 관장(管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절실함을 파악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행 기록물관리법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을 행정자치부 내에서 최소한 차관급의 기관으로 성장 승격시켜야 함을 주장하였다. 2) '국가기록물(國家記錄物) 보존서고(保存書庫) 신축(新築)사업'의 문제는, 이 신축 건물을 우리나라 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국가(國家)를 대표(代表)하는 상징적(象徵的)인 건축물(建築物)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건물에 대통령기록관도 아울러 입주하여야 함을 유념하여, 이 건물에 우리나라의 대표(代表)적인 기록물(記錄物)이나 위인(偉人) 등의 형상을 상징(象徵)할 수 있는 예술적 조형물(造形物) 및 장식물(裝飾物)의 설치가 요구됨을 주장하고, 이에 따른 <기획예산처>의 재정적 지원을 당부하였다. 3) 현행 기록물관리법의 법령 개정 보완의 문제를 (1)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 강화의 방안, (2)비공개기록물의 생산의무화 및 비밀보호의 규정으로 구분하여 고구(考究)하였다. 그 결과, 현행 기록물관리법의 제5조와 제6조 및 그에 따른 시행령의 해당 조항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삼부(三府: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산하 모든 공공기관의 기록물들이 중앙기록물관리기관에 총합적으로 수집되고, 이 기관에서 모든 국가기록물들을 관장(管掌)할 수 있도록 관계 법령을 개정할 것을 제안(提案)하였다. 그리하여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은 우리나라의 모든 기록물관리기관을 지도 감독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현행 기록물관리법에 누락되어 있는 비공개기록물에 대한 생산의무 및 이들 기록물에 대한 비밀보호의 규정을 반드시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4)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기준의 문제는 현행기록물관리법의 시행령 제40조에 제시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조건을 완화(緩和)하여, '기록관리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등을 그 최소기준으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 공공기관에서 기록물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선의 실무자들을 우선적으로 배려하여, 이들이 중앙기록물관리기관 등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면 그 자격을 인정하여 줄 것을 제안하였다. 그밖에 본 장의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사의 등급과 그 자격요건을 각각 구분하여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