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the Variation of Conic Coefficient of the Front Surface on RMS Spot Diameter

전면의 conic 계수 변화가 착락원 크기에 미치는 영향

  • Park, Seong-Jon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unchon Chongam College) ;
  • Ju, Seok-Hee (Department of Med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im, Sang-Hyu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Jeonbuk Science College)
  • 박성종 (순천청암대학 안경광학과) ;
  • 주석희 (전남대학교 의공학과) ;
  • 심상현 (전북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03.08.20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variation of conic coefficient of the front surface on the RMS SD(Root Mean Square Spot Diameter) in a back focal plane, we use programs which are Cove V and LOSA 2.0. We consider a spectacle lens with back vertex power of -4.00D, diameter of 70 mm, the front surface powers which are 2.00D, 4.00D, 6.00D, and 8.00D, and the indices which are $n_d$=1.498, 1.523, 1.586, and 1.660, respectively. The RMS SD in the back focal plane and the thickness of an aspherical tens having the optimized conic constant are smaller than those of a spherical lens. The RMS SD in the back focal plane decreases as the front surface power decreases. From these results, we determine the optimized conic constant to improve the optical image quality and decrease RMS SD in the back focal plane.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 전면의 conic 계수 변화에 따른 상측정점초점면에서의 착락원 직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Code V와 LOSA 2.9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측정점굴절력은 -4.00D이고 직경은 70mm인 근시교정용 안경렌즈를 고려하였으며, 전면 굴절력은 2.00D, 4.00D, 6.00D, 그리고 8.00D인 경우를, 굴절률은 $n_d$=1.498, 1.523, 1.586, 그리고 1.660인 경우를 각각 고려하였다. 최적 conic 계수를 사용한 비구면 렌즈의 경우에 상측정점초점면에서의 착락원 크기가 구면렌즈의 경우 보다 작아졌으며, 가장자리의 두께는 감소하였다. 또한 전면굴절력이 작을수록 상측정점초점면에서의 착락원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상측점검초점면에서의 착락원 직격을 최소화하여 광학적 결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 conic 계수를 결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