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According to Distance of Esophoria patients

거리에 따른 내사위 환자의 변화

  • Received : 2003.07.29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117 undergraduate ophthalmic optics stud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y ranged in age from 19 to 26 years. Subject, ha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at least 1.0 in both eyes, no strabismus, no amblyopia, and no history of ocular surgery. 37 subjects are esphoria and 25 subjects are $3{\Delta}$ and less, and the rest of 12 subjects show more $4{\Delta}$. Average phoria amount is $2.96{\Delta}$ at far distance and $1.08{\Delta}$ at near distance,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phoria amount in far and near distance, unchanging subjects are 3, 8 subjects are increase esophoria amount, and 26 subjects are phoria amount decreasing or appear exophoria. The reason of esophoria amount is decreasing in near distance, and the results are convergence burden decreases. At positive relative convergence, the expected value in far distance, blurred point is 7, break point is 16, and recovery point is 12. And negative relative convergence, break point is 7 and recovery point is 13, respectively. Moreover, at positive relative convergence, the expected value in near distance is blurred point is 8, break point is 7 and recovery point is 22. And negative relative convergence, blurred point is 2, break point is 8 and recovery point is 12, respectively.

19세에서 26세 사이의 안과 질환이 없는 시력 1.0 이상인 안경광학과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37명(31.62%)이 내사위로 나타났다. 그 내사위 환자 중 25명(67.57%)이 $3{\Delta}$ 이하였으며, 나머지 12명(32.43%)이 $1{\Delta}$ 이상이었다. 내사위 환자의 평균사위량은 원거리에서 $2.96{\Delta}$, 근거리에서 $1.08{\Delta}$으로 나타났고, 또한 원근거리의 사위량 연화에 있어서, 원거리 때와 근거리 때의 사위량에 변화가 없는 환자는 3명(8.10%), 내사위량이 증가한 환자는 8명(21.62%), 사위량이 줄어들거나 오히려 외사위로 나타난 환자는 26명(70.27%)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근거리 때 내사위량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온 것은, 내사위 환자의 경우 근거리시에 폭주부담이 작기 때문에 그러한 결과가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거리 때 실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흐린점 7명(18.92%), 분리점 16명(43.24%), 회복점 12명(32.43%)이였고, 허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분리점 7명(18.92%), 회복점 13명(35.14%)이였으며, 또한 근거리 때 실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흐린점 8명(21.62%), 분리점 7명(18.92%), 회복점 22명(59.46%)이였고, 허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흐린점 2명(5.40%), 분리점 8명 21.62%), 회복점 12명(32.43%)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