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콜린제(옥시부티닌)가 원발성 방광요관역류의 자연 소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Anticholinergic Agent(Oxybutynin) on Spontaneous Resolution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 안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심소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정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승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Ahn So-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So-Yu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ung-Wo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Su-Ji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eung-Joo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3.11.01

초록

목적 : 불안정 방광은 소아에서 원발성 방광 요관역류를 생성하고 지속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불안정 방광의 치료제인 항콜린제의 사용은 일차성 방광요관역류의 자연 소실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논쟁의 여지가 있어왔다. 저자들은 항콜린제인 옥시부티닌이 소변 가리기 훈련과 배뇨 증상이 각기 다른 소아에서 원발성 방광요관역류의 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0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이화의대 목동병원에 요로 감염으로 입원한 후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고 1년 후 추적 검사에서도 소실되지 않은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옥시부티닌군(59명)은 옥시부티닌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대조군(93명)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만을 투약했다. 방광요관역류의 소실율을 나이, 소변 가리기 및 배뇨 장애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59명)에서 소실 49.2%, 호전 20.3%, 무변화 30.5%로 대조군(93명)의 45.2%, 16.1%, 38.7%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34명)에서 소실 50.0%, 호전 23.5%, 무변화 26.5%로 대조군(52명)의 44.2%, 19.2%, 36.6%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는 소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25명)에서는 소실 48.0%, 호전 16.0%, 무변화 36.0%로 대조군(41명)의 46.3%, 12.2%, 41.5%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고 배뇨 장애도 없는 연장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9명)에서 소실 33.3%, 호전11.1%, 무변화 55.6%로 대조군(28명)의 53.6%, 10.7%, 35.7%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나 배뇨 장애를 보이는 연장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16명)에서는 소실 56.3%, 호전 18.7%, 무변화 25.0%로 대조군(13명)의 30.7%, 15.4%, 53.9%와 비교해 소실되는 경향이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옥시부티닌은 소변 가리기나 배뇨 장애와 관계없이 모든 소아에서 역류의 소실율에 미치는 치료 효과가 없었다. 배뇨 장애를 보이는 연장아에서는 역류의 소실율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원발성 방광요관역류에서 옥시부티닌은 배뇨 장애를 보이는 일부 연장아에서 신중하게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Unstable bladder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genesis and persistance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VUR) in children. And treatment of unstable bladder by anticholinergic agent may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primary VUR. We evaluated the effect of an anticholinergic agent(oxybutynin) on the resolution of primary VUR in children with different toilet training and voiding functions. Methods : 152 children with persistant primary VUR after one year of follow up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oxybutynin group(n=59, oxybutynin 0.2 mg/kg twice daily) and the control group(n=93, no oxybutynin)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October 1996 to April 2002. The resolution rate of the VUR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atus of toilet training and voiding dysfunc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the Chi-square test and a P-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 VUR was resolved in 49.2%, improved in 20.3% and not changed in 30.5% in the oxybutynin group(n=59)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45.2%, 16.1%, 38.7% in the control group(n=93), respectively. In the non-toilet trained young children, VUR was resolved in 50.0%, improved in 23.5% and not changed in 26.5% in the oxybutynin group(n=34)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44.2%, 19.2%, 36.6% in the control group(n=52), respectively. In the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VUR was resolved in 48.0%, improved in 16.0% and not changed in 36.0% in the oxybutynin group(n=25)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46.3%, 12.2%, 41.5% in the control group(n=41), respectively. In the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with no voiding dysfunction, VUR was resolved in 33.3%, improved in 11.1% and not changed in 55.5% in the of oxybutynin group(n=9)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53.6 %, 10.7%, 35.7% in the control group(n=28), respectively. In the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with voiding dysfunction, VUR was resolved in 56.3%, improved in 18.7% and not changed in 25.0% in the oxybutynin group(n=16), which looked higher than 30.7%, 15.4%, 53.9% in the control group(n=13), respectively,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ither. Conclusion : Oxybutynin was not effective in the resolution of primary VUR in non-toilet trained young children and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Oxybutynin showed slightly higher tendency of reflux resolution in toilet-trained older children with voiding dysfunc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Judicious use of oxybutynin is required in selected older children with VUR and voiding dysfun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