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Shanghai New Port Development Plan

중국 상해 신항만 개발계획 평가

  • 남기찬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송용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연정흠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China is expected to experience rapid increase in container traffic due to the joining to WTO and the fast economic growth. However, logistics-related infrastructure such as sea port is very poor and the capacity is lagging far behind the demand, resulting in transferring around 70% of import and export cargo volume at ports in adjoining countries such as Korea, Taiwan, Hong Kong and Japan. Recently, China announced a huge project of developing an offshore port consisting of 52 berths, 30km away from Shanghai with a connecting bridge. As such plan seems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rt of Pusan which tries to be a Hub port in Far East Asia, we need to scrutinize the plan. This paper, therefore, tries to examine Shanghai New Port Plan,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competitiveness, and to analyze the impact on Pusan port. For this, we review the situation of major container ports in China and the flow pattern of container traffic to and from Pusan port. We then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offshore port with respect to demand and supply for container terminal, weather condition, hinterland connection and resource of investment.

중국은 WTO 가입 및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향후 물동량 증가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러한 경제 성장에 비하여 항만 등 물류 인프라는 낙후되고, 처리 능력은 수요에 크게 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국의 수출입 화물 가운데 70% 이상이 한국, 대만, 홍콩 등 인접국 항만을 경유하여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중국 정부는 총 52개 선석 규모의 대규모 컨테이너 터미널을 해안에서 30여 km 떨어진 내해에 개발하고 교량으로 연결하는 상해신항만 개발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계획은 동북아 지역의 중심항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부산항 등 동북아 주요항만에 큰 위협적인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기 수립된 상해신항만 개발계획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상해신항만 개발계획을 검토하고, 항만 여건, 배후수송로, 예상 하역 단가 등의 평가를 통하여 상해신항만 사업의 실현 가능성 및 잠재적 경쟁력을 평가하고,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국의 주요 컨테이너항만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와의 주요 교역로 및 항만 기종점(O/D) 분석을 실시한다. 이어서 상해항 현황을 분석하고, 수요 대비 공급 정도, 기상 여건, 배후수송체계, 투자 재원 등을 중심으로 신항만 개발계획의 현실성을 평가하고,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검화 (2001). '상해항의 장기 발전 전략, 동북아 물류중심으로서의 부산항 마케팅 전략' 국제항만 심포지움,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한국해양대학교
  2. 해양수산부 (1999). 항만기본계획재정비
  3. 해양수산부 (2001). 수정항만기본계획 재정비
  4. 한진해운 상해지점 내부자료
  5.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0). 부산항 ODCY 이전에 따른 컨테이너화물 유통체제 정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6.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2). 중국 및 일본서안 컨테이너화물 유통실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
  7. 한국해양대학교 (2002). 부산신항만 시장 분석
  8. 정헌형. 김홍태 (1999) '부산항 배후도로 신호교 차점에 있어서 컨테이너 차량의 영향분석' 한국항 만학회지 제13권 제1호
  9. 건설교통부 (2001), '도로용량편람'
  10. 부산광역시 (2000), 부산시 항만(선항, 기존항) 광역배후수송망 계획
  11. 송용석. 남기찬. 연정흠. 김정은 (2003), 컨테이너 터미널 적정 선석길이 산정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7권 제2호
  12. 상해 항무국 발표자료
  13.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3),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
  14. 부산발전연구원 동북아물류연구센터 (2003), 동북아 물류현황
  15. 부산광역시(2002). 도시물류기본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16. Cargo Systems(2001), China begins to invest
  17. Shanghai Port Authority(2001), Port & City(Port of Shanghai)
  18. OSC(Ocean Shipping Consultants) 자료 www.osclimite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