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병원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과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 발행 : 2003.03.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 seve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in the Busan Metropolita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buk-do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June 1st, 2002 to September 30th, 2002. 1)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her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llows : for general self-efficacy degree, age, occupation, and level of education ; for family support, level of education and occupation ; for quality of life,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 religion, and monthly income. 2)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other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llows ; for general self-efficacy,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 for specific character of paralysis,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 for family support, care-giver, character of paralysis,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related; for quality of life,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general self-efficacy,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pecific self-efficacy, the specific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복희. 뇌졸중 후 편마비환자의 가족지지와 일상생활동작수행과의 관계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 강현숙.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4
  3. 국립재활원. 시범사업 보고서(1995-1997). 1997
  4. 김경희, 정혜경, 최미혜, 권혜진. 만성통증을 지닌 노인의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2000;7(2):332-344
  5. 김금순. 재가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 삶의 질, 자조관리 프로그랩 요구도와 관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2001;8(1):81-94
  6. 김금순 외 5명. 재가 뇌졸중환자를 위한 5주간의 자조관리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2000;3(2):196-211
  7. 김애리. 두부 외상 환자의 불안 요인 및 그 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8. 김이순. 뇌졸중환자의 희망.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9. 김정순, 정인숙, 이진주. 일부농촌 및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과 관리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1984;6(1):112-123
  10. 김정식. 뇌졸중환자의 가족지지와 자가간호 수행과의 상관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1.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12. 박원경.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13. 방활란. 말기 신부전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4. 백태선.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실증적 연구 -30세에서 65세까지의 퇴원환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5. 송경자. 자기효능증진 재활프로그랩이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6. 신주영. 자기효능 정보자원 프로그램이 관상동맥 질환환자의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7. 오현수. 여성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 대한간호학회지 1993;23(4):617-630
  18. 윤은주. 여성골다공증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 육미경, 김상순, 양은주. 통증이 있는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 및 지각된 사회적지지. 경북간호학회지 1998;2(2):57-90
  20. 이순규. 편마비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양질의 삶과의 관계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1. 이 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상,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수행과의 관계 삼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2. 정미정.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삶의 질.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3. 정현주, 조복희. 뇌졸중환자의 추후관리가 주간호 제공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000;3(2):169-180
  24. 조복회. 뇌졸중환자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재활간호학회지 1998;1(1 ):1-14
  25. 편성범, 김상한, 한명수, 권희규, 이항재.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삶의 질. 대한재활의학회지 1999;23(2):233-239
  26. 편성범, 김세주. 장애인 생의 만족도.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532-543
  27.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서울: 통계청. 2002
  2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 행태조사. 1998
  29. 홍여신 외 7명 .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의 관련요인 재활간호학회지 1998; 1(1):111-121
  30. Andrew, FM, Whthey, SB.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NY: Plenum press. 1976
  31. Bandura, E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erative-Hall Inc., 1986
  32. Berkman, LF. In social support and health. Academic Press Orlando, 1985
  33. Burckhardt. CS.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1985;34(1):11-16
  34.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10-314
  35. Rakel, RE. Principle of Family Medicine, Philadelphia: Saunders Co. 1977
  36. Shere M, Maddux JE.(1982).The self-efficacys 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1982;51: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37. Vittane M, Fugl-Meyer KS, Bernspang B, Fugl-Meyer AR. Life satisfaction in long term survivors after stroke. Scand. J. of Rehabil. Med 1988;20: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