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utomatic Subjective Assessment System Using Adjectives

형용사를 이용한 자동 주관적 평가 시스템의 개발

  • 민병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정보연구실) ;
  • 민병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정보연구실) ;
  • 정순철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부) ;
  • 김철중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정보연구실)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Subjective Assessment System (ASAS). The proposed subjective assessment system is designed to evaluate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or "gamsung" in Korean terminology) with subjective responses of volunteers about the experiment of emotion and sensibility. Once volunteers enter their subjective responses about the experiment into the developed system, the proposed system can automatically generate statistical results of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Then, the system stores the statistical results in the database which will be open to public through internet. The proposed system will be integrated into the universal" gamsung"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화.(1999). Microsoft Visual Basic Win32 API Bible. 삼양출판사
  2. 김종근, 홍준호, 송건철 (1999). Oracl Bible Ver 8.X. 영진출판사
  3. 김철중 (1998). 종합적 생리신호 측정, 해석시스템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4. 남경돈, 민병찬, 정순철, 이동형, 민병운, 김유나, 김철중, 김준수(2000). 향 자극에 따른 뇌파의 시계열 분석.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44-47
  5. 민병찬, 정순철, 김상균, 민병운, 오지영,김수진,김혜주,신정상, 김유나, 김철중, 박세진.(1999). 뇌파와 자율신경에 반응을 이용한 향(香)의 영항 평가. 한국감성과학회지 2(2), 1-10
  6. 민병찬,정순철,김수진,김혜주, 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김유나,김철중,박세진,김준수( 1999). 향(香)의 이미지 인자구조: 남녀차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417-422
  7. 민병찬(2000). 후각 DB 개발 보고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8. 정순철,민병찬,민병운,김상균,오지영,김유나,김철중,박세진.(1999). 시각자극에 대한 실시간 및 비 실시간 주관적 평가와 생리반응과의 상관관계. 대한인간공학회지, 18(3), 27-39
  9. 정충영,최이규(1996)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10. 채서일(1997).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11. 최영완(1999). 최적의 UI 설계 가이드, 한국HCl학회
  12. 최철, 권규식(2001). 쿼르타이 키보드에 기초한 인간공학키보드 설계를 위한 오타율분석', 인간공학회지

Cited by

  1. A Preliminary Study on the Preference Assessment on Individuals with Specific Display Location in Screen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Emotional Assessment vol.63, pp.7, 2014, https://doi.org/10.5370/KIEE.2014.63.7.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