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농촌개발사업의 사회.경제 부문 환경영향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Small Scale Rural Development Projects

  • 홍찬선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임상봉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발행 : 2003.11.25

초록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improve techniques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to suggest their measuring methods to apply in small scale rural development projects. Population, residence, industries, and traffic volume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Seongeup agricult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in Jeju Province. Existing data gathering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population and traffic volumes. Interview schedule for villagers was applied to estimate the residents' satisfaction to living environments. Interview schedule for experts was applied to estimat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land price. The results of social and economic impact assessment show that there will be considerable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land price. On the contrary, the project will make little impacts on the changes of population, em-ployment, and traffic volum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인환, 1998, 사회.경제 환경영향평가의 현황과 개선대책, 환경과학논문집 3(1) : 35-57
  2. 건설교통부, 2000-2002, 도로교통량 통계 연보
  3. 남제주군, 1991-2001, 남제주군 통계연보
  4. 농어촌진흥공사(현 농업기반공사), 1997, 마동지구 농어촌용수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5. 농어촌진홍공사, 1999, 성읍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기본계획
  6. 농업기반공사, 2000, 시화지구 간척농지 환경영향평가서
  7. 농업기반공사, 2002, 성읍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8. 당진군, 2002, 송악전문단지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서
  9. 대한주택공사, 2001, 노항택지지구 환경영향평가서
  10. 성현찬, 한상욱, 1994,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별 중점평가항목 도출에 관한연구, 환경영향평가 3(1) : 9-30
  11. 원주시, 2002, 동화농공단지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보고서
  12. 윤순진, 2003, 환경갈등의 예방.완화.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한국행정학회 2003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15-44
  13. 이성호, 1999, 환경영향평가의 주민의견 수렴방법과 개선방안, 환경과학논집 4(1) : 1-15
  14. 이시재, 2000, 사회영향평가제도의 이론과 실제, 2000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발표집, 223-228
  15. 이시재 외, 2003, 사회갈등적 환경현안의 조정체계 개선방안 : 사회영향평가 제도화를 중심으로, 국회의원.학회 공동프로젝트 보고서
  16. 정연만, 2000, 환경영향평가법의 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7. 정지웅, 임상봉, 1997, 지역사회개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8. 조해용 외 1, 1997, 유럽공동체 국가들의 환경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6(4)
  19. (주)이어도컨트리클럽, 1998, 이어도컨트리클럽개발 사업 환경.경관 통합평가서
  20. 제주도, 2001, 제2차 제주도 종합개발계획
  2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1, 소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서의 작성요령집 개발
  2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를 위한 기법 연구
  23. 환경부, 2000,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편람
  24. 환경부, 2001,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25. Becker, Henk A., 2001, 'Social Impact Assessment',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28 : 311-321
  26. Burdge, Rabel J., 2002, 'Social Impact Assessment: Why is social impact assessment the orphan of the assessment process?'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March, 20(1) : 3-9
  27. Burdge, Rabel J. and Deanna Glosser, 1993, Analyzing Social Impacts of Development.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Board of Trustees
  28. Wolf, C.P., 1983, 'Social Impact Accessment: A Methodolodgeical Overview', kurt Finstervusch, Llewellyn, and C.P. Wolf(ed.), Social Impact Accessment Methods, Bevery Hills, Sa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