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al Patterns and Clincal Analysis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of Children in Korea(September, 1998~August, 2002)

바이러스에 의한 소아 급성 하기도 감염의 유행 및 임상양상(1998년 9월~2002년 8월)

  • Lee, Su-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Park,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Oh, Phil-S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Ko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Kwang-Nam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Kyu-Ma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이수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은영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오필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건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광남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규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Published : 2003.05.31

Abstract

Purpose :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re the most common illnesses in children. The great majority of these infections involving lower respiratory tracts infections(LRTI) are caused by respiratory viruses such as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parainfluenza virus (PIV), influenza virus(INF), adenovirus(ADV), etc. Ou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asonal occurrenc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each viral infections. Methods : Nasopharyngeal aspirates(NPA) were collected from 913 hospitalized children on the first day of admission. They were all admitted to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and diagnosed as LRTIs.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1998 to August 2002. Specimens were inoculated onto HEp-2 cell, LLC-MK2 cell and MDCK cell. Viruses were detected by immunofluorescent method performed at day 10 postinoculation. Respiratory viruses were detected in 251(27%) cases. Medical records of 208 cases diagnosed as acute LRTIs were all taken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 The identified pathogens were RSV 122 cases(58%), PIV 30 cases(14%), INFA 20 cases(10%), INFB 21 cases(11%) and ADV 15 cases(7%) during the study period. Outbreaks of RSV infections occurred every year but mostly on December, 1998 and November, 1999. LRTIs by PIV and ADV occurred during all seasons of the year. INFA was isolated moslty on March, 1999 and January, 2000. INFB infections occurred largely on April, 2002. The clinical diagnoses were bronchiolitis 88 cases(43%), pneumonia 87 cases(42%), croup 19 cases(9%) and tracheobronchitis 14 cases(6%). Common symptoms and signs were cough, rhinorrhea, sputum and fever. WBC counts in peripheral blood showed normal findings in 123 cases(59%). Each viral infections also showed some differences in auscultatory findings and chest X-ray findings. Conclusion : We learned that viruses are one of the major and important etiologic agents of acute LRTIs of children in Korea. However, we still need to find out more about its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and continue studying on their seasonal occurrence to focus on their management and also prevention.

목 적 : 바이러스는 소아 하기도 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소아에서 흔히 이환되어 모세기관지염, 폐렴, 크룹, 기관 기관지염 등의 하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들의 유행 및 임상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소아과에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입원했던 환아 중 총 913례에서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하여 바이러스 배양 및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 형광 검사법으로 251례(27%)에서 호흡기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그 중 모세기관지염, 폐렴, 크룹, 기관 기관지염 등의 급성 하기도 감염증으로 진단 받은 208례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 과 : 1) RSV가 122례(58%)로 가장 많았고, PIV 30례(14%), INFB 21례(11%), INFA 20례(10%), ADV 15례(7%) 순이었다. 2) 발생시기는 RSV의 경우 1998년 12월과 1999년 11월에 많이 발생하였다. PIV는 연중 비슷하였고, INFA는 1999년 3월과 2000년 1월에 많이 검출되었다. INFB는 2002년 4월에 많이 발생하였고, ADV는 2000년을 제외하고는 연중 비슷하게 검출되었다. 3) 남녀 성별비는 1.8 : 1로 남아가 더 많았고, 중앙연령은 10개월이었다. 4) 임상적 진단에는 세기관지염 88례(43%), 폐렴 87례(42%), 크룹19례(9%), 기관 기관지염 14례(6%)의 순이었고, RSV의 경우 세기관지염이 70례(58%)였다. 5) 임상증상 및 징후에는 각 바이러스 모두 기침(93%), 비루(83%), 가래(74%), 발열(56%)이 많았고, ADV의 경우 발열(89%), 호흡곤란(56%)이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서 높았다. 6) 청진 소견으로 천명음이 들렸던 경우는 RSV가 69%, INFA가 45%로 많았고, 건성수포음은 PIV가 52%, INFB가 38%로 많았으며 수포음은 ADV에서 89%로 높았다. 7) 말초 혈액 백혈구 수는 전체 59%에서 정상이었고, 39%에서 증가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는 73%에서 증가하였고, C 반응 단백은 21%에서 양성이었다. 8) 방사선 소견은 고찰이 가능하였던 206례 중 각 바이러스 모두 정상 소견이 가장 많았고, 과팽창은 RSV에서 많았다. 폐문 부위 기관지 침윤과 폐경화는 ADV에서 많았고, 하인두 확장은 PIV에서 현저하게 많았으며, 그 외 무기폐 소견도 있었다. 결 론 : 소아에서 급성 하기도 감염증의 중요한 원인을 차지하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각각 발생시기 및 유행양상이 다르고 임상 양상에서도 차이를 보였으나, 이에 더욱 많은 보고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