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Stands of Pinus koraiensis by Environmental Factor

입지환경에 따른 잣나무 차대검정림 하층식생 구조의 특성

  • 정동준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
  • 김홍률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bou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by chang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forest in Pinus koraiensis stands. Stand slope of Kapyung area was slower than Youngdong area. On the other hand, contents rate of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in Kapyung was lower than Youngdong area. And relative intensity of light was higher Youngdong than Kapyung area. On the whole, growth of the Pinus koraiensis was more dominant Kapyung area than Youngdong. Analysis result of the relative density, - frequency, - coverage and importance value to shrub layer in each local stand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were dominant species in Kapyung area. Dominant species In Youngdong area was Quercus acutissima. In Kapyung area, appearance species of the vegetation layer was consisted that live in moist soil and shaded lot. Youngdong area showed fewer species than Kpyung area. Species diversity of shrub and vegetation layer in Kapyung and Youngdong area was higher than Youngdong. This result was judged by slope difference between each areas. Kapyung area need enforce thinning and Youngdong area conduct tending management on shrub layer.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과 충청북도 영동에 조성된 풍매차대검정림의 하층식생에 대한 입지환경에 따른 군락조성 및 구조에 대한 변화와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가평지역의 임분내 경사는 영동지역에 비해 완만했으며,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가평지역이 전반적으로 영동치역 보다 전체적인 함량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내 지역별 임상에 도달하는 상대광도는 가평지역보다 영동치역이 매우 높았다. 전반적으로 잣나무의 생장은 가평지역이 영동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생장상태를 보이고 있다. 잣나무 임분의 지역별 관목층의 종구성과 상대 밀도, 빈도, 피도 및 중요치 등에 대한 분석 결과, 가평지역은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영동지역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하층식생은 가평지역에 출현하는 종들은 대부분 토양이 습윤하며 음지에 볼 수 있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동지역은 가평지역에 비해 적은 종이 출현하며 대부분 경사가 심하고 토양이 건조하며 햇빛이 많이 도달하는 곳에 출현하는 종들로 특히 산딸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잣나무임분의 관목층 및 하층식생의 전체 종다양도는 가평지역이 영동지역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간의 지형적인 특성인 경사도의 상이한 차이로 판단되며, 가평지역은 잣나무 생장을 고려하여 간벌이 시행되어져야 하며, 영동은 하층식생에 대한 무육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항문사, 990p
  2. 전상근, 1997: 경사입자가 잣나무 가계별 수고 및 직경 변이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식량자원개발연구소 연구 논문집, 18, 87-96.
  3. 전상금, 신만용, 정동준, 장용석, 김명수, 1999: 지역별 잣나무 초기생장 특성과 국지기후의 영향 - 정기평균생장량과 국지기후와의 관계 -. 한국임학회지, 88(1), 73-85.
  4. 전상근, 신만용, 정동준, 장용석, 2001: 잣나무 풍매차대검 정림의 소고 및 직경생장의 유전력과 개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1), 105-112.
  5. Begon, M., 1991: Ökologie, Individuen, Populationen und Lebensgemeinschaften, Birken-häuser Verlag, Basel, 289pp.
  6. Chon, S. K. and H. P. Chong, 1971: Ecological Studies on Korean White Pine Forest(I).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2, 13-21.
  7. Day, F. P. and C. D. Monk, 1974: Vegetation pattern o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Ecology, 55(5), 1064-1067.
  8. Evans, G. C. and D. E. Coombe, 1959: Hemispherical and woodland canopy photography and the light climate. Journal of Ecology, 47, 103-113.
  9. Ludwig, J. A. and J. F. Reynold,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37pp.
  10. Pielou, E. C., 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11. Röhrig, E. and Gussone, H. A., 1982: Waldbau auf ökologischer Grundlage, Band 2, Paul Parey, Hamburg and Berlin, 350pp.
  12. Wissel, C., 1989: Theoretische Ökologie. Eine Einführung, Springer Verlag, Berlin, 36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