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토지의 훼손 잠재성에 대한 신속한 생태평가기법

Rapid Ecoassessment Technique about Anthropogenic Disturbance Potentiality of Land Use

  • 발행 : 2003.02.01

초록

군락분류학에 기초한 현존식생도를 이용하여 토지에 대한 생태적 안전성 또는 위약성을 평가하는 '잠재인간간섭도'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4개 범주(삼림지역, 개방수역-호소와 하천, 경작지 면적, 주택-도시화의 인공 면적)에 따라 입지도에 대한 직접평가 및 간접평가로부터 격자법과 등고선법에 의한 '잠재인간간섭도(潛在人間干涉圖)를 제작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토지의 훼손 잠재성을 평가하는 '교란핵구역'과 '위약(危弱)세포구역'을 규정하고, 토지 관리를 위한 생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례연구로 973개의 격자(500 m×500 m)로 이루어진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대의 현존식생도 상에서 이루어졌다. 사례연구 지역 내에서 '교란핵구역'은 51군데이며 '위약세포구역'은 28군데로써 대상 면적의 약 8.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학적 현존식 생도를 이용한 '교란핵구역'과 '위약세포구역'을 발굴하는 잠재인간간섭도는 토지 이용과 보존에 관한 생태학적 전략 구축에 있어서 구체적인 현장적 입지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유효수단인 것으로 밝혀졌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anthropogenic disturbance potentiality (ADP) of the area a rapid ecoassessment techniqu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ctual vegetation map. ADP degree of relevant unit cell was computed by using four criteria of land use patterns such as forested area, open water and stream, agricultural area, and urbanized area. Ultimate ADP degree of each cell was obtained by means of direct and indirect computation process. Finally the map of ADP was drawn and analyzed. Vulnerable cell and disturbance nuclei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disturbance vector which is a kind of potential disturbance pressure of relevant cell influenced by surrounding cell. A case study was accomplished in the Gijang area of Pusan metropolitan city. 973 meshes (500m×500m) were analyzed and a total of 79 meshes were currently threatened. Present technique of rapid ecoassessment was practically useful for diagnosing and planning land use.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생태학회지 v.20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 기법 - 식생의 자연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김종원
  2. 의왕시 자연식생지 편찬을 위한 생태조사 연구 최종보고서 의왕시 자연식생지 김종원;이율경
  3. 계명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v.18 제주도 칼데라 습지에 대한 국가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김종원;이율경;제갈재철,최기룡
  4. 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 발전방향 연구 최종보고서 박용하(편)
  5. Pflanzensoziologie(3rd ed.) Braun-Blanquet,J.
  6. MAB-Berichte Band v.18 Hemerobie osterreichischer Wald-okosysteme Grabherr,G.;G.Koch;H.Kirchmeir;K.Reiter
  7. J. Inst. Nat. Sci. v.16 A map of vegetation naturalness using the MM-technique Kim,J.W.
  8. Sch. Reih fur Landschaftpflege und Natureschutz v.6 Wandel von Auswahl von Natureschutzgebieten Sukopp,H.
  9.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Braun-Blanquet Approach Westhoff,V.;E.Van der Maarel;R.H.Whittaker(ed.);Dr.W.Junk b.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