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양록업 현황 및 환경 실태 조사

On­farm Survey on Deer Farming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Korea

  • 성시흥 (건국대학교 녹용연구센타) ;
  • 문상호 (건국대학교 녹용연구센타) ;
  • 전병태 (건국대학교 녹용연구센타) ;
  • 이승기 (공주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
  • 발행 : 2003.1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양록가에 대한 일반현황 및 사육현황을 파악하고, 사료조달현황 및 양록 경영 현황, 양록 산업의 당면과제 등을 조사 분석하여 양록가 및 정부시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농가의 경영주 연령은 40대 이상이 84%로 대부분이었으며, 20대는 1%에 불과하였는데 이는 젊은층의 농업기피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고 추측된다. 경영주의 학력은 대졸이상이 53%로 다른 농업분야에 비하여 비교적 높았으며, 양록업 종사전의 직업은 원예, 공직 등이 대부분으로 양록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전문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영형태는 부업형태가 53%로 가장 많았으며, 전업형태는 전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녹용의 개별 판매 외에는 별다른 판매방법을 갖고 있지 못한 양록가들이 전업형태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위험부담 기피현상 때문이라 생각된다. 양록업 종사 동기는 다른 가축에 비하여 더럽지 않고(95%), 소득수준이 높으며(75%), 노동력이 적게 들기 때문에(51%)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농가의 대부분이 꽃사슴과 엘크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대답하였으며, 꽃사슴 및 레드디어는 감소한 대신 엘크사육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녹용 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사슴의 확보방법은 자가 생산(51%), 외부구입(30%) 등이었으며 사슴의 외부 구입 시에는 유통업자를 통한 구입이 대부분으로, 이에 대해 많은 양록가들이 불만족을 표시하여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단체의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3. 양록가들이 양록 현장에서 느끼는 가장 어려운 점 중의 하나는 사료조달에 관한 것으로, 주 사료로는 많은 양록가들이 일반 배합 사료를 구입하여 먹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슴 전용 사료 이용은 28%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전용 사료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료로는 주로 볏짚, 알팔파건초, 섬유질사료, 떡갈잎 등을 먹이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료의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인 바 우리나라 고유의 조사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4. 양록업을 통한 조수입은 3천만원 이하가 대부분(80%) 이었으며, 양록 생산비 중 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57%로 사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할 때 사료비 절감을 위한 대책들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한다. 5. 양록업의 당면과제 및 애로점에 대해서는 사슴 및 녹용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 미흡, 녹용판매 및 사료조달의 어려움, 과학적 사양관리 체계 개발 미비 등을 지적하여 정부와 학계의 합리적인 정책 수립 및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current status of domestic deer farms and its feeding were surveyed. The information of supply and demand of feed f3r deers including its industry were also examined and then analyzed to make fundamental data for deer farms and government poli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ver 40 years old farmers were about 63% of total deer farms while 20­30 years olds were less than 1% indicating that young people still evade agriculture. Moreover, considering education, over 52% of the farmers have bachelor degree showing much higher rates compared to the other agricultural fields. The reason can be assumed that the labor burden is not serious in deer farming while it is not dirty job compared to the other livestock management. Those high­educated people can be easily trained as experts of deer farming to improve its international competition. 2. Most of investigated farms raise Korean spotted deers and Elk showing that the percentage of Elk has greatly increased(However, many farmers have complained about purchasing methods and they insisted that the sales organization should be controlled by government). 3. 57% of total cost of production is for feed while most of feeds are imported from abroad. It indicated that it is urgent to make counterplan for saving feed cost. 4. It is necessary to develop feeds for deers in the near future while most of the examined farmers currently use normal assorted feed. Typical roughage sources feeds are rice straw, alfalfa hay, browses feed, and so on. Most of them are currently imported except the rice straw indicating urgently needed to develop domestic bulky feed. 5. The present questions are development of processed goods of velvet antler, establishment of reasonable management system, difficulty of velvet antler selling, feed supply, and so on.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and academic world to develop reasonable policy and scientific research progra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