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융합하여 분석한 파킨슨씨병 환자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Registration in the Evaluation of Parkinson′s Disease

  • 주라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김재승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문대혁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최보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서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발행 : 2003.12.01

초록

목 적 : $^{123}$ I IPT SPECT에서 선조체 섭취율(specific striatal binding ratio: SBR)과 미상핵과 전$.$후 조가비핵의 비(anterior/posterior ratio: APR)를 측정하기 위해 육안적인 방법으로 설정한 수동 관심영역설정 방법과 MR template을 영상 융합하여 해부학적 영상을 기준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서 수동방법과 영상 융합 방법간 차이의 유의성과 분석 그룹간의 유의성과 재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Early parkinson군 17명(남/녀:8/9, 56.6$\pm$10.8세)과 severe parkinson군 13명(남/녀:8/5, 56.4$\pm$11.1세), 정상인 11명(남/녀:7/4, 57.8$\pm$14.4세)을 대상으로 $^{123}$ I IPT 259 MBq을 정맥 주사한 후 얻은 $^{123}$ I IPT SPECT 영상에서 수동 ROI와 영상융합방법에 의한 ROI를 설정하였다. 영상융합방법에 의한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은 NMI 방법으로 $^{123}$ I IPT SPECT와 MNI T1 template를 영상 융합하여 midthalamic level에서 선조체의 경계를 따라 하부조직을 7개의 관심영역으로 구분하여 SBR과 APR을 측정하고 수동방법으로 측정한 SBR과 APR과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수동 관심영역 설정방법과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 의한 두 분석 방법간 비교에서 SBR은 정상인 그룹(r=0.853, P=0.001), early parkinson군(H&Y stage I, II) (r=0.841, P=0.000), severe parkinson군(H&Y stage III, IV) (r=702, P=0.007)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APR은 early parkinson군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r=0.720, P=0.001)를 보였고 정상인(r=0.567, P=0.069), severe parkinson군(r=0.413, P=0.16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분석그룹간 비교에서 수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서 정상인과 early parkinson군(P=0.000), 정상인과 severe parkinson군(P=0.000), early parkinson군과 severe parkinson군(P=0.013)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서 정상인과 early parkinson군(P=0.000), 정상인과 severe parkinson군(P=0.000), early parkinson군과 severe parkinson군(P=0.003)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APR은 수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서는 분석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정상인과 early parkinson군:P=0.316, 정상인과 severe parkinson군:P=0.256, early parkinson군과 severe parkinson군:P=0.969).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서는 정상인과 early parkinson군(P=0.038), 정상인과 severe parkinson군(P=0.027)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early parkinson군과 severe parkinson군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P=0.948). 재현성은 CV값으로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이 7.2%, 수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이 31%로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의 재현성이 4.3배 높았다. 결 론:$^{123}$ I IPT SPECT영상에서 SBR과 APR의 측정이 해부학적 표준영상인 T1 template를 기준으로 영상 융합하여 선조체와 하부조직을 미상핵과 조가비핵 전측과 후측으로 구분하여 섭취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수동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분석하는 방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iatal binding ratio, the anterior/posterior ratio and reproducibility using a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standard MR template as a replacement for each patients MR image. Materials and Methods:This study analyzed the 123I IPT SPECT images of 30 patients with IPD, who were subdivided into 17 patients (56.6$\pm$10.8 yr, M/F : 8/9.) with mild IPD, and 13 patients (56.4$\pm$11.1 yr, M/F : 8/5) with severe IPD. In addition, 11 normal controls (57.8$\pm$14.4 yr, M/F : 4/7) were also analyzed. The ROIs were positioned manually in the same slice showing the highest striatal activity using the traditional manual method, whereas those were positioned automatically in a mid striatal slice of the SPECT image coregistered to the standard T1 weighted MR template. Results : The specific binding ratio (SBR) obtained using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strongly correlated with those using the manual method in all groups : normal controls (r=0.85, P<0.001), mild IPD (r=0.84, P<0.001) and severe IPD (r=0.7, P=0.01). The SBRs obtained using both metho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P=0.05) and the SBRs obtained by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by the manual method (P=0.05) in all three groups. The APRs obtained by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correlated with those using manual method in only mild IPD (r=0.72, P=0.0). The APRs obtained by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trols and those with mild or severe IPD (P<0.05), whereas those obtained using the manual meth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P>0.1). The reproducibility (rmsCV) of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was 7.2% (normal controls:5.2%, mild IPD:4.2%, severe IPD:10.8%), whereas the reproducibility of the manual method was 31% (normal controls:19.7%, mild IPD:21.7%, severe IPD:46.2%). Conclusion: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123}$ I-IPT SPECT for assessing IPD is affected by the methods used to position the striatal ROI.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standard MR template can be useful in diagnosing IPD and assessing the disease severity with a high reproducibility. Therefore, the template based registration method appears to be a good replacement for the manual meth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