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전자상거래 현황과 정책방향

B2B Electronic Commerce: It′s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 김제홍 (경민대 인터넷비즈니스과) ;
  • 주상호 (협성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발행 : 2003.03.01

초록

B2B 전자상거래가 국가간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전개될 시기도 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B2B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민간주도의 자율적 규제원칙이 우선적으로 계속 추진되어야하고 기업간 협력정서와 기업간 관계 진작을 위한 정책수립 및 시행도 요구된다.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효율성과 효과를 감안한 경쟁정책의 조율과 국제표준화 활동에의 적극 참여 등 정부 정책도 필수적이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의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를 위한 현황 분석은 물론 향후 정책대응 방안 마련도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장 분석을 위한 기업거래 관행과 기업간거래 연계 방안 그리고 B2B 전자상거래 정책방향에 대한 분석이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and market share of B2B Electronic Commerce between countries increase in the future. To motivate this new type of marketing, civil-leading flexible regulation frame is needed than any other factors including its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for activating each companys cooperation mind and friendly relationship also. Government policies should focus on coordination of competing circumstances and participating t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orking scope In addition, domestic situation of B2B Electronic Commerce and political perspectives are to be analyzed and proposed that contribute to broaden market share. These aims are obtained by scrutinizing some critical factors of current B2B market: companys trading characteristics, possibility of introducing to trading scope, and B2B Electronic Commerce Policy et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