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Strategy of the Characters Developed by the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the Characters of 31 Cities and Goons of Gyeonggi Province -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분석 및 활용전략에 관한 연구 - 경기도 31개 시ㆍ군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Culture Technology (music, publication, mobile, film, video, cartoon, animation, character, game, broadcasting etc) is increased, the field of character industry recently has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brand value beyond the existing view point of simple designing; it also has been given much attention as a main axis leading the cultural industry of the 21 st century. The character of a local government plays roles such as a symbolic part of a region, parts of tourism and public relations, and a profit-making function, which results into generation of regional image and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strategy of the character is only limited to an early stage of regional advertisem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31 cities and goons of Gyeonggi Province, comparing with those of local governments of Japan. In the long run, this will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strategy of character applications. The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ference materials for character development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문화콘텐츠산업(음악, 출판, 모바일, 영화, 비디오,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 방송 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캐릭터 분야에서도 기존의 디자인 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독립된 브랜드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며, 나아가 21세기 문화산업을 주도할 산업의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캐릭터는 지역의 상징적 요소의 역할, 관광 및 홍보의 역할, 수익사업으로의 전개 등을 통하여 지역이미지의 구축은 물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의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의 활용은 지역을 홍보하는 정도의 매우 제한적인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개발현황을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파악$.$분석하고,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개발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장기적 안목에서의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기관 관련 캐릭터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