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raphic Contents of Hyuk-Wha in the late Chosun Dynasty

조선후기 혁화의 그래픽 콘텐츠 연구

  • 이명구 (동아방송대학 미디어디자인학과) ;
  • 남인복 (메트로신문 편집국)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About 18th centu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various kinds of 'Min-Wha'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and had an important meaning in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at period. Therefore, both in material and in technique, so many diversified 'Min-Wha' were mass produced in that time. Starting from those backgrounds, 'Hyuk-Wha', is considered as one of unique style of expression. Though, 'Hyuk-Wha', in techniques, was originated from 'Bibaekseo' classified as one of the style of expression in Oriental drawing and writing art. 'Hyuk-Wha' shows and expresses visual differentiation from rough 'Bibaekseo', in substance, written by brush made from the skin of a willow tree or the stem of a sort of reeds. 'Hyuk-Wha', in mode, has very dose relation to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in-Wha'.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Hyuk-Wha' has deep relationship to Taosmic character painting of 'Gilsang: an auspicious sign' or Confucian character painting of 'Hyojae: filial piety. Accordingly, 'Hyuk-Wha' has been developed to that character painting designed by another type of creative differentiations. For these reasons, 'Hyuk-Wha' which significantly shapes and contains the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 also has been esteemed to have interrelation with Pictography in application of Word mark or Brand logotype in graphic areas. 'Hyuk-Wha' which was prevalent in use of home decorations for the people existed in the past has been ceased to exist nowadays in use of home decorations by appearance of all sort of decoration articles. All these days, 'Hyuk-Wha' which was diversified as a part 'Min-Wha' and developed together with oriental drawing and writing art and character painting is to be necessarily relighted. And 'Hyuk-Wha', which is also vigorously in practical application in Western Europe is desirable to be reconsidered.

조선 후기인 18세기 전후에는 각종 민화(Min-Wha)들이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면서 소재나 기법에서 독특하고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민화 가운데에서 특이한 표현 양식 중 하나로 혁화(Hyuk-Wha)를 들 수 있다. 혁화는 그 기법으로 볼 때, 서예의 표현 양식의 하나로 분류되는 비백서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는데, 버드나무 껍질이나 갈대류의 줄기를 바르게 펴서 붓 대용품으로 써서 작업한 비백서의 다소 거친 질감과는 시각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혁화의 발전 과정은 민화 전체의 발전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교적인 길상문자 문자도 및 유교적인 효제문자도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식의 창의적이고 차별화 된 문자도 형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그런 까닭에, 문자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한자의 뛰어난 조자력을 상징적으로 조형화 한 혁화는 오늘날 그래픽 분야의 워드 마크(Word Mark)나 브랜드 로고타입(Brand Logotype) 등에 응용되는 픽토그래피(pictography)와도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민중의 집안을 꾸미고 장식하는 용도로 성행했던 혁화는, 오늘날 다양한 장식용품의 등장과 현대화된 주택의 발달로 그 용도는 거의 소멸되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동안 민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서예 및 문자도 와 더불어 발전해 온 혁화가 서구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현시점에 비추어 볼 때, 그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