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및 교통특성에 따른 계획 단계의 도시부 도로 교통사고 예측모형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by Traffic and Road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s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정현 (한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태희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타)
  • 발행 : 2003.08.01

초록

현재 도로사업의 타당성 조사 시 사용하는 교통사고 감소편익 산정기준은 도로의 등급별로 사고율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도로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로의 물리적인 특성과 교통 특성을 반영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여 도로의 신설 및 개량에서 그 도로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단계로서 도시지역 도로를 대상으로 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우선 도로유형별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 때 선정 기준은 도로계획단계에서도 획득할 수 있는 자료를 위주로 선정하였으며, 변수로는 교통량, 중앙분리대의 유·무, 교차로 수, 연결로 수, 횡단신호등 수, IC밀도 및 차로수 가로 선정되었다. 각 요인과 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규모 및 등급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하여 사고예측 모형식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그 모형식을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모형식의 결과와 실제 사고 자료와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계획 단계에서 새로운 도로의 안전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가 전라북도 한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어 전국적인 대표성을 지니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The current procedure of estimating accident reduction benefit shows fixed accident rates for each level of roads without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roadway geometries, and traffics.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above, models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oadway alignment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The developed model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accident rates on new or improved roads, In this study, only urban highways were included as a beginning stage. First of all. factors influencing accident rates were selected. Those factors such as traffic volumes. number of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number of connecting roads, number of pedestrian traffic signals, existence of median barrier, and the number of road lane are also selected based upon the obtainability at the planning stage of roa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and accident rates shows strong correlation statistically. In this study, road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number of lanes, level of roads and the existence of median barriers. The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performed for each group with actual data associated with traffic, roads. and accidents. The developed regression models were verified with another data set.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 proposed models, only data on a limited area were used. In order to represent whole area of the country with the developed models. the models should be re-analyzed with vast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교통통계 경찰청
  2. 도로교통 안전 기술보고서 97-02 도로의 기하구조와 교통 안전성에 관한 미국 연방도로청의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건설교통부
  4.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소 연구논문 도로유형요소의 교통안전성 효과 최재성
  5. 대한교통학회지 v.21 no.1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기반 교통 사고위험도지수 강승림
  6. 서울대 환경대학원석사논문 도로기하구조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경부고속도로중심으로 김태완
  7. 사망사고에서의 도로환경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강정규
  8. TRR 1401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s James A. Bonneson;Patrick T. Mccoy
  9. TRR 1581 Effect of Median Treatment on Urban Arterial Safety and Accident prediction Model James A. Bonneson;Patrick T. Mccoy
  10. Accident and Capacity Comparisons of Leading and Lagging Left-turn Signal Phasings Sheffer;Janson
  11. Planning and Scheduling Work Zone Traffic Control FHWA
  12.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Road Investment Projects Study Group on Road Investment Evaluation
  13. TRB Special Report 214 Designing Safer Roads, Practices for Resurfacing,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TRB
  14. Applied Regression Analysis Draper,N.R.;Smith,H.
  15. Linear Regression Analysis Sober,G.A.F.
  16. Medians Oreg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7. Research report, FHWA-RD-99-171 Speed prediction rot two lane rural highways Fitzpatrick,K.(et al.)
  18. Report No. FHWA-RD-87-008 Safety Effects of Cross-Section Design for Two-Lane Roads C.V.Zegeer;J.Hummer;L.Herf;D.Reinfurt;W.Hunter
  19.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30 no.5 Analysis of Commercial Minibus Accidents Mohanmmad A. Hadi;A.S.Jarad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