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pplication of Microbial Liquid Manure on Growth and Yield of Altari Radish(Raphanus sativus L,) in Volcanic Ash Soil

미생물제 액비의 엽면시비에 따른 알타리 무의 생육 및 수량형질 변화

  • 강봉균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
  • 송창길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bial liquid manure(MLM) on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Altari radish (Raphanus sativus L.). MLM 1,000mg$.$L$^{-1}$ MLM 2,000mg$.$L$^{-1}$ and MLM 1,000mg L$^{-1}$ + microbial fermentation compost(MFC) 600kg/10a were treated. MLM was sprayed on leaves at 10, 20, and 40 days after planting. Leaf length and width of radish in all microbial fertilizer treatments were more vigorous than that of control significantly. Number of leaves was great in order of 1,000 mg$.$L$^{-1}$ MLM+600kg/10a MFC 〉2,000mg$.$L$^{-1}$ MLM〉1.000mg$.$L$^{-1}$ MLM. SPAD reading value was increased with treatments of 2,000mg$.$L$^{-1}$ MLM and 1,000mg$.$L$^{-1}$ MLM+600kg/10a MFC. Root length and weight of all the microbial fertilizer treatment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and 1,000mg$.$L$^{-1}$ MLM+600kg/10a MFC treatment was the most effective.

제주지역 화산회토 시설재배지에서 유용미생물제를 시용하여 알타리 무의 생육, 수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생물제 액비 1,000mg$.$L$^{-1}$ 엽면시비 3회, 2,000mg$.$L$^{-1}$ 엽면시비 3회, 1,000mg$.$L$^{-1}$ 엽면시비 3회 + 미생물발효퇴비 600kg10a 정식전 살포처리후 20, 40, 60일 후 생육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엽장과 엽폭은 무처리에 비해 미생물제제 처리구가 60일후에 유의하게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수는 60일 후에 1,000mg$.$L$^{-1}$ 엽면시비 3회+미생물발효퇴비 600kg/10a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00mg$.$L$^{-1}$ 엽면시비 3회 처리구, 1,000mg$.$L$^{-1}$ 엽면시비 3회 처리 순으로 조사되었다. 엽록소함량치(SPAD reading value)는 60일 후에는 2,000mg$.$L$^{-1}$ 엽면시비 3회 처리구 및 1,000mg$.$L$^{-1}$ 엽면시비 3회+미생물발효퇴비 600kg/10a 처리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생체중은 미생물제제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근장은 무처리구보다 미생물제제처리구가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중은 미생물제액비 1,000mg$.$L$^{-1}$ 엽면시비 3회+미생물발효퇴비 600kg/10a 처리구가 220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