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적설 및 융설 모의를 포함한 탱크모형의 소양강댐 및 충주댐에 대한 적용

A Tank Model Application to Soyanggang Dam and Chungju Dam with Snow Accumulation and Snow Melt

  • 발행 : 2003.10.01

초록

적설 및 융설모의를 포함하여 소양강댐과 충주댐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모의모형은 탱크모형의 수정 형태로서 직렬 3단 탱크와 맥동 응답함수로 이루어져 있다. 매개변수의 추정에는 컴플렉스 혼합진화 (SCE-UA) 전역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적설 및 융설모의를 위하여 유역을 고도별로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고도에 따른 기온감률은 0.6$^{\circ}C$/100m로 하였다. 모의 결과 12∼2월 사이에 이 지역에 내리는 강수는 대부분 눈으로 쌓여 있다가3∼4월에 녹아서 유출되었다. 소양강댐의 3∼4월 평균 유출량은, 융설모의를 하는 경우가 하지않는 경우에 비하여 관측 유출량의 약 1/5이 증가되었다. 충주댐의 경우는 융설 모의로 인하여 관측 평균 유출량의 약 1/4에 이르는 유출량이 증가되었다. 그렇지만 두 댐 모두, 융설을 포함하여 유출을 모의하 였음께도 불구하고, 모의 유출량이 관측 유출량보다 작았다.

Snow accumulation and snow melt was simulated and included in the computation of the watershed runoff for Soyanggang Dam and Chungju Dam. A modified Tank Model was used for the simulation, which has three serial tanks and a pulse response function. The model parameters were estimated through the global optimization method of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SCE-UA). A watershed was divided into four zones of elevation. The temperature decrease of the zones was a rate of -0.6$^{\circ}C$/100m. Almost all precipitation from December to February become accumulated as snow, and then the snow melts and runs off from March to April. The average runoff with snow melt was greater than the average runoff without snow melt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April. The improved amount from snow melt simulation was about one fifth of the observed one for Soyanggang Dam. The increased amount for Chungju Dam was about one fourth of the observed average runoff during the same period. Although the watershed runoff was simulated including snow melt, it was less than the observed one for both of the d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영, 박승우 (1986). '유역특성에 따른 탱크모형 매개변수의 변화.' 한국농공학회지, 제28권, 제2호, pp. 42-52
  2. 김현영, 박승우 (1988), '관개용 저수지의 일별 유입량과 방류량의 모의발생(I).' 한국농공학회지, 제30권, 제1호, pp. 50-62
  3. 노재경 (1991). 토양수분 저류에 의한 일 유출량 유역 모형.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 임상준 (2000). 농엽유역의 논 관개회귀수량 추정 모형의 개발.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5. 한국수자원공사 (1996). 낙동강 수계 실시간 최적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
  6. 한국수자원공사 (2001a). 낙동강 수계 댐군 최적연계 운영 시스템 개선 연구보고서
  7. 한국수자원공사 (2001b). 수문자료 빈도분석 및 일 유출 모의 시스템 구축
  8. 허유만 (1992). 중소유역의 일별 용수수급해석을 위한 하천망 모형의 개발.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9. Sugawara, M., Watanabe, I., Ozaki, E., and Katsuyama, Y. (1984). Tank model with snow component. Research Note of the National Research Centers for Disaster Prevention No. 65,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Disaster Prevention, Japan
  10. Duan, Q. (1991). A global optimization strategy for efficient and effective calibration of hydrologic models. Ph.D. dissertation, Univ. of Arizona, Arizona
  11. Singh, V.P. (1995).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Colorado

피인용 문헌

  1.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vol.22, pp.14, 2008, https://doi.org/10.1002/hyp.6861
  2. Comparison of Natural Flow Estimates for the Han River Basin Using TANK and SWAT Models vol.45, pp.3, 2012, https://doi.org/10.3741/JKWRA.2012.45.3.301
  3.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a Tank Model for Simulating Runoffs from Ungauged Watersheds vol.46, pp.5,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5.519
  4. Application of K-DRUM Model for Pakistan Kunhar River Basin Considering Long-term Snow Melt and Cover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6.2237
  5. Assessment of Snowmelt Impact on Chungju Dam Watershed Inflow Using Terra MODIS Data and SWAT Model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2.0457
  6. Snow Melting Simulation of Gwangdong Dam Basin in the Spring Season Using Developed K-DRUM Model vol.32, pp.6B, 2012, https://doi.org/10.12652/Ksce.2012.32.6B.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