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Economic Valuation of Rural Women's Labor - Agricultural Work and Household Work -

여성농업인 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농업노동과 가사노동 -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ural women's labor by measuring labor value economicall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pplied four methods : replacement cost method individual function, replacement cost method generalist, opportunity cost method and shadow wag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ime used for agricultural work and household work by with women were 5.3 hours and 3.8 hours each. 2) According to the methods used, the amounts of valuing rural women's labor were varied and ranged from 23,000 won to 43,000 won per day. This study might help recognize the degree of rural women's labor contribution to the household income of farm households and improve the socio-economic status of rural women through showing the productivity of the rural women's labor.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미(1997). 농가의 가사분담 실태와 생활만족도. 농촌생활과학, 19(1), 19-23
  2. 김경미, 최윤지, 조현숙(2001). 여성농업인의 법적 지위부여를 위한 시론적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연구소 논집, 40, 87-104
  3. 김선희(1990).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2), 73-00
  4. 김영옥(2001). 여성농업인의 취업유형별 소득전망과 정책개발. 한국여성개발원
  5. 김영옥, 김이선(1999). 21C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6. 김영옥, 양승주(2000). 여성농업인 육성 5개년 계획(시안). 농림부
  7. 김외숙, 이기춘(1988).시간사용연구에 관한 분석적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6(3), 171-182
  8. 김이선(1997). 개방농정체제에서 여성의 농업참여에 관한 연구. 충청도 3개 마을 사례연구. 한국여성개발원
  9. 김인숙(1997). 농가주부 및 남편의 노동에 대한 화폐적 가치평가 연구. 서원대학교논문집
  10. 김애실(1985).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 서울지역의주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3(4), 23-48
  11. 김정희(1993). 한국주부의 가사노동시간과 경제적가치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1 (4), 7-51
  12. 김정희(1999). 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기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19-30
  13. 김주숙(1979). 한국의 농촌여성.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소: 여성학 이화여대출판부
  14. 김주숙(1981). 농촌여성문제 소고. 한국사회학, 15, 49-60
  15. 김주숙(1982). 농촌여성의 농업생산 참여의 실태와문제점. 농촌경제. 5(2), 34-49
  16. 김주숙(1985). 해방 40년과 농촌여성지도정책 고찰. 변형윤 외 분단시대의 한국사회. 도서출판까치
  17. 김준영(2001). 주부의 가사노동가치평가, 국민경제에대한 기여도 분석 및 제도적 반영의 종합적연구. 통계청 주최 제 7회 통계의 날 기념세미나(2001. 9)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 결과-주부의 가사노동가치 평가와 생활시간 활용 및 배분-', 13-36
  18. 김태홍(2001). 무급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정책화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여성부 . UNDP주최. 여성의 무급노동 평가와 정책화를 위한 세미나 ( 2001. 4. 27). 45-107
  19. 노동부(2000).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
  20. 농림수산부(1979). 농가경제조사
  21. 농림수산부(1985). 농가경제조사
  22. 농림수산부(1988). 농가경제조사
  23. 농림부(2002). 농림업주요통계. http://www.mafgo.kr
  24. 농촌생활연구소(1997). 시험 연구보고서
  25. 농촌생활연구소(1998). 시험연구보고서
  26. 농촌진흥청(1999). 시간으로 본 농가부부의 생활
  27. 문숙재 (1990). 주부의 가사노동가치와 세제개선방향에 관한 연구-새가족법의 정착음 위하여- 정무장관(제 2 )실 정책자료 90-6
  28. 문숙재 (2001). 가사노동가치평가를 위한 소프트프로그램개발의 기초분석. 통계청 주최. 제 7회 통계의 날 기념세미나( 2001. 9)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 결과-주부의 가사노동가치 평가와 생활시간 활용 및 배분-', 37-56
  29. 문숙재, 정영금(1997). 가사노동의 정책적 반영을 위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41-52
  30. 문숙재, 윤소영, 김은희(2002). 무보수 가사노동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대한가정학회지, 40(10), 161-176
  31. 박현채(1984). 한국농업문제의 새로운 인식. 돌베게
  32. 이기영, 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가정 부부의 생활시간 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4), 11-26
  33. 이기영(2001). 국민생활시간 활용의 국제비교. 통계청 주최. 제 7회 통계의 날 기념세미나(2001.9) '1999 '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 결과 주부의 가사노동가치 평가와 생활시간 활용 및 배분-', 57-82
  34. 이미경(1983 ). 농촌빈곤과 농촌여성, 한국기독교 사회문제 연구원편: 한국의 가난한 여성에 관한 연구. 민중사
  35. 이호철, 최수영 (2001). 지역 여성농민의 실태와 정책적 대안 제시,경북대 경제경영연구소. 경상논집. 29(1), 39-62
  36. 정기환(1997). 농가여성의 노동력 구조와 경제활동실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7. 정영금 (1989). 가사노동의 가치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정영일(1984). 한국농업문제의 새로운 인식. 돌베게
  39. 조형(1981). 농촌사회의 변화와 농촌여성.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사회개발연구, 5, 207-274
  40. 최명숙(1986). 한국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41. 최윤지, 유소이, 최현자(2002). 여성농업인 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 방법에 관한 소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1), 25-40
  42. 최재석(1988). 한국농촌사회 변동연구. 일지사
  43. 통계청(2000). 1999년 농업기본통계조사 결과
  44. 한경미(1989). 취업주부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1-13
  45. 한국여성개발원(1984). 농촌여성의 노동실태에 관한연구
  46. 허경옥(1997). 부인과 남편의 시간배분구조 분석가정생산모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1)., 19-337
  47. 홍성희(1993). 주부의 가사노동 및 여가시간 배분에관한 체계론적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11(2), 55-68
  48. 홍향숙, 박수경(1994). 조기출퇴근제 실시에 따른 부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2), 49-60
  49. Becker, G. S. (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7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50. Berk, R. A. (1980). The New Home Economics: Anagenda for sociological research. In S. F. Berk(ed). Woman and household labor. Beverly Hills, CA: Sage Pub
  51. Bryant, W. K.(1990).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Cambridge Univ. Press
  52. Gronau, R. (1977).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6), 1099-1023 https://doi.org/10.1086/260629
  53. Kim J.S.(2002). Child labor and household timeallocation in US family farm households. Ph.D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54. Lee, B.C., Jenkins, L.S. & Westaby, J.D.(1997). Factors influencing exposure of children to major hazards on family farms. Journal of Rural Health, 13(3), 206-215 https://doi.org/10.1111/j.1748-0361.1997.tb00844.x
  55. Matsushima, C. (1981). Time-input and household work-output studies in Japan-present stat and future perspec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cs, 5(3),199-218 https://doi.org/10.1111/j.1470-6431.1981.tb00398.x
  56. Mincer, J. (1962).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 study of labor supply in aspects of Labor Economics, H. G. Lewis, ed., Univ. National Bureau of Economics Research Conference Series No. 14.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57. Sanik, N. M (1977). A division of household work, decade comparison 1967-1977.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0(2)
  58. Saupe, W.E. & Bentley, S. (1994). Introduction to the survey, Status of Wisconsin Family-Special edition: The 1993 ATFFl Family Farm survey. Depart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Family Farm Institut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59. Skoufias, E. (1994). Using shadow wage to estimate labor supply of agricultural household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6, 215-227 https://doi.org/10.2307/1243623
  60. Zick C. D. & Bryant, W. K. (1983). Alternative strategies for pricing home work tim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2(2), 133-144 https://doi.org/10.1177/1077727X830120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