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 of the volcanism and deposition determined from the Cretaceous strata of the islands of Yeosu-si

여수시 도서지역의 백악기층에 나타나는 화성활동 및 퇴적시기

  • Park, Kye-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 and Institute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ik, In-S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 and Institute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uh, Min (Department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부경대학교 지질환경연구소) ;
  • 백인성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부경대학교 지질환경연구소) ;
  • 허민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Sado, Chudo, Mokdo, Nangdo, and Jeokgeumdo are the islands which belong to Hwajeong-myeon, Yeosu-si, Jeollanam-do and there are various kinds of volcanic rocks, volcaniclastic sedimentary rocks, and dinosaur-fossil bearing sedimentary rocks on these islands.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strain geologic ages of these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K-Ar ages of these rocks indicate that the volcanism of this area occurred mainly during the period of 91.8 ${\pm}$ 3.5∼65.5 ${\pm}$ 1.3(l$\sigma$) Ma. Deposition ages of the sedimentary rocks were bracketed based on the ages of the volcanic rocks and observed field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The oldest sedimentary deposit of the area is the volcanic pebble bearing conglomerate of the Jeokgeumdo and its deposition age is ca. 81 Ma or less. The deposition age of the Chudo shale, which belongs to stratigraphically upper sequence and bears many dinosaur footprints, is at least ca. 77 Ma. Conglomerate of the Mokdo was deposited at ca. 72∼70 Ma. The deposition age of the dinosaur fossil deposit of the Sado is at least ca. 65 Ma. All the investigated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of the Yeosu islands were formed during the late Cretaceous and dinosaurs lived until the latest Cretaceous in this area.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에 속하는 사도, 추도, 목도, 낭도, 적금도 등 도서지역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산암과 화산쇄설성 퇴적암 및 공룡화석이 산출되는 퇴적층 등이 산출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화산암 및 퇴적암들의 생성 및 퇴적시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K-Ar 연대측정을 통해 알아낸 이 지역의 화성활동은 주로 91.8$\pm$3.5(l$\sigma$) Ma에서 65.5$\pm$1.3(l$\sigma$) Ma의 시기에 걸쳐 일어났음이 밝혀졌다. 조사지역 퇴적암의 퇴적연대는 야외에서 관찰된 퇴적암과 화산암과의 관계와 화산암의 연대로부터 추정하였다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퇴적암은 적금도의 화산력을 갖는 역암으로써 최고 생성연대는 약 8천 1백만년이다. 층서적으로 더 상위에 놓이며 많은 공룡 발자국 화석을 포함하는 추도의 셰일층은 최소 7천 7백만년, 목도의 역암은 약 7천 2백만년 내지 7천만년, 사도의 공룡화석층은 최소 6천 5백만년전에 퇴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여수시 도서지역에서 조사된 화산암과 퇴적암들은 모두 백악기 최후기에 분출 및 퇴적된 것이며, 이 지역에서는 공룡들이 백악기 최후기까지 활동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구과학회지 v.17 벌교지역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데 대한 연구 김정빈;박영석
  2. 지구과학회지 v.15 동산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체의 암석지화학적 특징과 광화작용과의 관련성 연구 김희남;신인현;안건상
  3. 지구과학회지 v.18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심성암류의 지질시대와 암석화학적 연구 박영석;김정빈;윤정환;안건상
  4. 광산지질 v.21 전남 고흥반도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의 화산층서 및 암석화학적 연구 윤성효;황인호
  5. 광산지질 v.25 광양 승주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이창신;김용준;박영천;이창주
  6. 1:1,000,000 한국지질도 한국자원연구소
  7. 지질학회지 v.37 전남 여수시 도서지역에서 발견된 공룔발자국 화석 허민;백인성;정철환;박재봉;김보성
  8. Jour. Geol. Soc. Korea v.11 Cretaceous stratigrapgy of southeast KoreA Chang,K.H.
  9. Jour. Petrology v.27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Le Bas,M.J.;Le Maitre,R.W.;Streckeisen,A.;Zanetti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