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ospect for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in Daegu Area(II)

한국 전통 폐백음식에 대한 인식과 전망 (II)-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한재숙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사업전공) ;
  • 이수영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prospect for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21 housewives in Daegu a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people(94.2%) had ever seen Pyebaeck refreshments before, and most had seen them in wedding halls(62.5%). The reason they do prepare Paebaek refreshments was “it's tradition”(44.9%), and they considered this tradition as a public moral. The peoples who had prepared Pyebaeck refreshments at home consisted 51.0% and those who had purchased at caterer was 59.5%. The reason for preparing the refreshments at home was usually “it's true-hearted”(48.8%) and the reason for hiring specialists was “it's more convenient”(38.7%). Opinions about cooking method were mostly “complicated”(79.8%), and the knowledge score for cooking methods was low in 2.80. 31.3% of respondents reported inheriting their recipes from their mother. 43.3% of the respondents thought it would be “transmitted only a part” on prospects for Pyebaeck refreshments. 31.5% of the respondents said the improvement plan should be “focused on development of various Pyebaeck refreshments with modern senses” and 30.4% that the industralization should be effected through “publicity activities and education about its excellence”. People had to experience the Pyebaeck in the right way and to understand its real meaning better in order not to consider it as an evil custom, empty formality and vanity.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인 폐백음식이 더욱 더 계승$.$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대구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인식과 전망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백음식을 본 경험은 “있다”가 94.2% 이었고, 본 장소로는 “예식장”이 62.5%로 가장 많았으며 폐백음식을 장만하는 이유로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이라서”가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폐백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은 “있다”가 51.0%, “없다”가 49.0%이었고, 반면에 폐백음식 전문점에서 구입한 경험은 “있다”가 59.5%, “없다”가 40.5%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드는 이유로는“정성이 많이 들어가므로”가 48.8%로 가장 많았고, 반면에 전문점에서 구입하는 이유로는 “편리하므로”가 38.7%로 가장 높았다. 2.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견해는 “복잡하다”가 79.8%로 가장 많았고 폐백음식 조리방법에 대해 아는 정도는 5점 만점에 2.80점으로 대부분의 주부들이 폐백음식의 조리방법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리법의 전수자는 “친정어머니”가 31.3%로 가장 많았다. 3. 폐백음식에 대한 전망은 “일부분만 전해질 것이다”가 4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폐백음식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다양한 폐백음식 개발”이 3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폐백음식의 산업화 방안으로는 “폐백음식의 우수성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가 30.4%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낮은 인식을 극복하고 더욱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조리법에 대한 산$.$$.$연 합동의 꾸준한 연구와 교육, 대중홍보 등을 통해 주변에서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며 나아가 폐백음식 전문점의 확충과 전문가 활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전통성과 현대화가 부합되는 조리법을 발굴해 시대에 맞는 폐백음식의 조리법을 개선$.$보완해 나간다면 우리의 아름다운 폐백음식 문화의 전승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문학논총 v.15 현대 혼례의 문제분석 및 개선방안 김시황
  2. 가족과 문화 v.11 no.1 혼례의 문화적 모순과 상품화 박선웅
  3.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추계학술심포지움 v.12 no.4 혼례음식 규범의 의미와 모형제시 윤숙경;윤서석;손경희;김천호;이종미;안명수;곽동경;정혜경
  4. 안동문화원 97 전통 혼인절차의 의미 이동후
  5. 사례편람 이재
  6. 통과의례음식 이춘자;김귀영;박혜원
  7. 한국조리과학회지 춘계심포지움 v.15 no.3 전통떡류의 과학적 고찰과 산업화 과제 이효지
  8.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추계학술심포지움 v.12 no.4 우리나라 혼례음식 인지도에 관한 조사 연구 정혜경;손경희;윤숙경;김천호;이종미;안명수;곽동경;박옥진
  9.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추계학술심포지움 v.11 no.4 우리나라의 명절음식문화 조후종
  10. Korean J Dietary Culture v.3 no.3 The study of the housewive's consciousness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aegu area Cho,Y.S.;Hong,S.O.;Han,J.S.
  11. Korean Food Development Institute 1993 The present status of processing technique on traditional food and its development measures Han,E.
  12. J East Asian of Dietary Life v.6 no.3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rites Huh,S.m.;Han,J.s.
  13. Korean J Dietary Culture v.11 no.4 The food of Korean traditional rite Kang,I.H.
  14. Korean J Soc Food Sci v.16 no.6 A study of housewives'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Korean Rice Cake Kang,K.O.;Lee,H.J.
  15. Korean J Dietary Culture v.16 no.2 A study on the traditional fast foo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Ro,S.B.;Shin,A.S.;Kil,J.O.
  16. Korean J Soc Food Sci v.16 no.3 A survey for the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foo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the U.S Sim,Y.J.;Jung,B.M.;Kim,E.S.;Joo,N.M.
  17. M. A. Thesis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A knowledge of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rea on traditional rite and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of ceremony food Son,Y.m.
  18. Research of Social Science A study of housewives' knowledge on ceremony food in Kangwon-do district Yim,Y.s.
  19. Korean J Dietary Culture v.12 no.2 The food culture of marriage ceremony Yun,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