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종별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보유율 조사

Serological survey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domestic animals

  • 이상준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정년기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송운재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장승익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하숙희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문병천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이필돈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발행 : 2003.03.01

초록

A total of 1,024 sera were collected from cattle(227), pigs(465), chickens(257) and dogs(75) raised or slaughter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April to September 2002. Japanses encephalitis virus(JEV) antibodies in sera were detected by the ha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 The prevalence rates of JEV antibodies were 99.1 %, 54.0 %, 63.0 % and 98.7 % in cattle, pigs, chickens and dogs, respectively. In case of cattle and dogs, the monthly antibody-positive rates were as high as 85.7∼100.0 %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six months. In case of pigs, the monthly antibody-positive rate showed the lowest in April(6.4 %) and the highest in July(100.0 %) and it remained above 50 % during the summer-time. In case of chickens, the monthly antibody-positive rate was 100.0 % in July & August, 80.5 % in June, 40.0 % in May, 7.5 % in September and 5.0 % in April in order and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seasons.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창국, 마점술, 김선중. 1987. 신제가축질병 향문사, 서울: 224-225
  2. Lee KW, Powers NR. 1990. The status of mosquito borne diseases in the Republic of Korea. Yansei Rep Trap Med 21 : 59-63
  3. Straw BE, D'Allaire S, Mengeling WL, et al. 1999. Diseases of swine. 8 Eel,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 173-178
  4. 김정순 1991. 역학각론: 감염병 신광출판사, 서울: 228-233
  5. 최원필, 송희종, 김순재. 1997. 수의전염병학 경북대학교출판부, 대구: 222-224
  6. Sazawa H. 1968. Japanese encephalitis in domestic animals. Bull Off Int Epiz 36th General Session
  7. Timoney JF, Gillespie JH, Scott FW, et al. 1988. Hagan and Bruner's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s of domestic animals. 8 Ed.,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Ithaca and London :768-769
  8. Clarke DH, Casals J. 1958. Techniques for hemagglutination and hemagglutination-inhibition with arthropod-borne viruses. Am J Trop Med Hyg 7: 561 -573
  9. 류영수, 박최규, 장정호. 1997. 가축질병진단 이공월드, 서울: 55-61
  10. Sabin AB, Schleginger RW, Ginder DR, et al. 1947. japanese B encephalitis in American soldiers in Korea. Am J Hyg 46 : 356-375
  11. 이남신, 문재봉, 김용희. 1955. 일본뇌염에 관한 연구 가축위생연구소보 3: 1-16
  12. 정영채, 문재봉, 강병직 등. 1971. 일본뇌염에 대한 한국가축에서의 혈청학적 조사 연구. 대한수의학회지 11(2):163-170
  13. 문재봉, 송기창, 김용희 등. 1960. 일본뇌염의 혈구응집억제반응에 관한 연구. 농사시험연구보고 2:109-120
  14. Sakai T, Takahashi K, Hisasue S, et al. 1990. Meteorological factors involved in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fection in cattle. Jpn J Vet Sci 52(1) : 121-127
  15. Sakai T, Horimoto M, Goto H. 1985. Status of japanese encephalitis infection in cattle : Survey of antibodies in various geographical locations in Japan. Jpn J Vet Sci 47(6) : 957-962
  16. 조관수, 권경만, 김용희. 1970. 일본뇌염의 역학적 조사연구 I.돼지에 있어서 일본 뇌염의 항체조사와 유사산 피해조사. 대한수의학회지 10(2) : 59-66
  17. 박경수. 1983. 일본뇌염에 대한 동물의 혈청학적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인선동, 심재철, 최정희 등. 1986. 일본뇌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연구. 국립보건원보 23 : 377-389
  19. 신학균, 김주성, 김박영 등. 1976. 일본뇌염에 대한 혈청역학적 병독학적 조사연구(1976). 국립보건원보 13 : 135-145
  20. 신학균, 김주성, 김박영 등. 1977. 일본뇌염에 대한 혈청역학적 조사연구(1977). 국립보건원보 14 : 129-138
  21. 신학균, 박기덕, 정의범 등. 1975. 일본뇌염에 대한 혈청학적 조사연구(1975). 국립보건원보 12 : 75-82
  22. 국립보건원장 2002.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결과 국립보건원 공문
  23. 국립수의과학검역원장. 2002. 가축혈청검사 종합실적.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공문
  24. 이윤태, 이종훈. 1976. 1975년도 사람 및 가금 혈청내에 일본뇌염바이러스의 항체보유율. 대한감염학회지 8(1) : 75-82
  25. 심재철, 윤영희, 조양벽 등. 1994. 작은빨간 집모기의 개체군 밀도와 일본뇌염환자 발생 예찰. 국립보건원보 31(1) : 156-164
  26. 조덕현, 오세원. 1992. 최신위생곤충학 수문사, 서울: 98-108
  27. Takashima I, Hashimoto N, Watanabe T, et al. 1989. Mosquito collection in endemic areas of Japanese encephalitis in Hokkaido, Japan. Jpn J Vet Sci 51(1) : 947-953
  28. 국립수의과학검역원장. 2002. 돼지 바이러스성 번식장애질병 모니터링 및 진단법개선연구.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연구보고서 : 278-296
  29. 김병한, 권창희, 안수환 등. 1992. 돼지 바이러스질병 감염에 의한 유사산 실태조사. 대한수의학회지 32(3) : 365-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