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Storage with Various Films and Storage Temperature of Pholiota adiposa

검은비늘버섯의 포장재와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 효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earned out to develop storage method for the keeping freshness with various packing film(Wrap, PE, PP and AF) and storage temperature(l, 3 and 6$^{\circ}C$) of Pholiota adiposa(CBPM-no6) mushroom. The rate of weight loss packed with Wrap film was 3.17%, but AF film was 1.08% after 18days. As the storage periods, lightness and yellowness of mushroom packed with PE, PP and AF were slightly increased, while Wrap film was decreased. The color of original raw mushroom preserved 3days using Wrap film and 18 days using PE, PP and AF. As storage temperature high, the rigidity of mushroom decreased. Rigidity of mushroom packed with AF film was less change compared with the other film. Freshness degree of mushroom(refer to Minamide method) could preserve for 3 days using Wrap, 6 days using PE, 9 days using PP and 15days using AF film at 1$^{\circ}C$.

본 연구는 검은비늘버섯(CBPM-6호)의 선도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포장재(Wrap, PE, PP, AE)및 저장온도(1$^{\circ}C$, 3$^{\circ}C$, 6$^{\circ}C$)을 달리하여 18일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기간 중 포장재별 중량 감모율은 랩포장시 1$^{\circ}C$에서 18일 후 3.17%이었으나, AF필름에서는 1.08%의 낮은 중량 감모율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저장기간이 연장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약간 증가하는 반면 랩 포장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 저장 전 색깔은 랩포장에서는 3일, PE, PP, AF포장에서는 18일까지 유지되었다. 경도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1$^{\circ}C$에서 저장할 때 AF 밀봉 저장이 경도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도는 1$^{\circ}C$ 저장시 신선도 8을 기준으로 랩포장은 3일, PE 밀봉은 6일, PP 밀봉은 9일, AS 밀봉으로 15일간 저장시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rita, I. and Mimura, K. (1969) The mating system in some Hymenomycetes II. the mating system in Favolus Aarsularius(BATSCH ex FR.) AMES, F. mikawai(LLoyd) IMAZ., Pholiota adipos(FR.) QUEL. and Pleurotus comucopiae(PAUL. ex PERS.) ROOL. Rept. Tottari Mycol. Inst.(Japan) 7, 51-58
  2. Arita, I. (1979) Cytological studies on Pholiota. Rept. Tottari. Inst.(Japan) 17, 1-18
  3. Arita I., Teratani, A. and Shione, Y. (1980) The optimal and critical temperatures for growth of Pholiota adiposa Rept. Tottari Mycol. Inst.(Japan) 18, 107-113
  4. 장후봉(2001) 검은비늘버섯 병재배를 위한 배지 재배 개발시험, 농업과학기술연구개발시험연구보고서,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5. 南出陸久, 抗生後夫, 緒方邦安 (1980) 數種キノコ 類の 鮮度に むよほおす 貯藏溫度 影響. 日食工誌, 27 281-287
  6. Sveine, E, Klougart A. and Rasmussen, C.R.(1965) Ways of prolonging the shelf-life of fresh mushrooms. Mushroom Sci. 6, 463-474
  7. Lopez, G., Varoquaux, P., Bureau, G. and Pascat, B. (1993)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common mushroom. International J. Food Sci. Technol. 28, 57-68
  8. 윤인화, 손영구, 정대승(1983) 버섯류 저장시험. 농기연시험연구보고서, 742-753
  9. 손영구, 정대성 (1989) 버섯류 저장가공시험. 농기연 시험연구보고서. p.435-446.
  10. 지정현, 하태문, 김영호, 주영철 (1996) 저장온도 및 포장방법에 따른 생버섯의 선도유지 효과. 농업논문집, 38(1),.
  11. Minamide T, Iwata, T and Habe, T (1985) Bull Univ. Osaka pref. B. 37, 5-11
  12. SAS Institute Inc. (1988) SAS/STAT User' Guide. Version 6.2th ed. Cary. NC. USA
  13. 지정현, 하태문, 김영호 (1998) 포장재료에 따른 생버섯의 선도유지 효과, 특작논문집 40, 58-64
  14. 南出陸久 (1981) キノコ 類の生理.化學的 特性と 品質保持. 食品 と低溫. 7, 88-95
  15. 한대석, 안병학, 신현경 (1992) 환경조절 저장방법을 이용한 느타리 버섯과 표고버섯의 유통기간 연장. 한국식품과학회지. 24, 371-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