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에 의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구조 변형

Structure Development in Draw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 전병환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연구센터,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 김환기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 강호종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연구센터,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발행 : 2003.09.01

초록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T)의 연산에 의한 구조 변형을 살펴보았다. 특히 연신 온도 및 연신비에 따른 PTT의 열적 특성과 결정화도 변화 및 배향 특성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수축률과 기계적 특성 변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신에 따른 응력에 의한 결정화의 발현은 PTT의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유리 전이 온도의 증가와 냉 결정화 온도의 감소 및 냉 결정화 엔탈피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신에 의한 결정화도 및 주사슬 배향의 변화는 가해진 응력 크기와 연신 온도에 따른 주사슬의 유연성에 의하여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수축률은 주사슬의 배향에 따라 증가되나 연신 온도에 의한 결정화도 증가에 의하여 수축률을 최소화시킴을 확인하였다. 주사슬 배향 증가에 의하여 탄성 계수와 인장 강도가 증가하며 신율은 감소하나 연신에 의한 결정화도 증가에 의하여 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tructure development of draw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as a function of draw down ratio and drawing temperature was studied. The special effort was made to find out the effect of structural development on thermal properties and crystallinity in drawn PTT. The changes in shrinkage ratio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understood base on the level of crystallinity and orientation of the drawn PTT. The stress induced crystallization caused the increase 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decrease in col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enthalpy. The crystallinity and orientation were dependent upon the level of applied stress level as well as chain flexibility at high drawing temperature. The drawing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hrinkage ratio but it was minimized by increasing of crystallinity. The development of orientation resulted in increasing modulus and tensile strength while decreasing elongation at break.

키워드

참고문헌

  1. International Fiber Journal H.H.Chuah;H.S.Brown;P.A.Dalton
  2. Antec. Tech. Paper v.46 R.Reinicker;A.Pangelinan;I.Greshler
  3. J. Korean Fiber Soc. v.37 Y.H.Kim;H.M.Lee;J.C.Kim
  4. Polymer(Korea) v.26 E.J.Hyun;S.H.Lee;K.Y.Kim;Y.S.Gal;S.H.Jang;H.K.Choi;B.S.Kim
  5. Polymer v.20 I.J.Desborough;I.H.Hall;J.Z.Neisser https://doi.org/10.1016/0032-3861(79)90163-0
  6. Polymer v.20 S.P.Daudurand;S.Perez;J.F.Revol;F.Brisse https://doi.org/10.1016/0032-3861(79)90064-8
  7. Macromolecules v.20 B.J.Bulkin;M.Lewin;M.Kim https://doi.org/10.1021/ma00170a022
  8. J. Polym. Mat. Sci. Eng. v.54 B.J.Bulkin;M.Lewin;F.DeBlase;M.Kim
  9. J. Appl. Polym. Sci. v.76 B.J.Chisholm;J.G.Zimmer https://doi.org/10.1002/(SICI)1097-4628(20000523)76:8%3C1296::AID-APP10%3E3.0.CO;2-N
  10. J. Korean Fiber Soc. v.34 Y.H.Kim;K.J.Kim;K.M.Lee
  11. J. Polym. Sci., Polym. Phys. Ed. v.14 I.M.Ward;M.A.Wilding;H.Brody https://doi.org/10.1002/pol.1976.180140206
  12. Polymer v.42 J.Grebowicz;H.Brown;H.Chuah;J.M.Olvera;A.Wasiak;P.Sajkiewicz;A.Ziabicki https://doi.org/10.1016/S0032-3861(01)00047-7
  13. Macromolecules v.34 H.H.Chuah https://doi.org/10.1021/ma010317z
  14. Polymer v.42 J.Wu;J.M.Schultz;J.M.Samon;A.B.Pangelinan;H.H.Chuah https://doi.org/10.1016/S0032-3861(01)00045-3
  15. J. Appl. Polym. Sci. v.81 W.S.Lyoo;H.S.Lee;B.C.Ji;S.S.Han;K.Koo;S.S.Kim;J.H.Kim;J.Lee;T.W.Son;W.S.Yoo https://doi.org/10.1002/app.1803
  16. Polymer v.43 G.Wu;H.Li;Y.Wu;J.A.Cuculo https://doi.org/10.1016/S0032-3861(02)003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