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ocene sea-level rise and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Strait shelf

대한해협 대륙붕 해역의 홀로세 해수면 상승과 고환경변화

  • 남승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 장정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 공기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 김성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 유동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A 31m-long sediment core (SSDP-102) was taken from the inner shelf (about 40m water-depth) off the northwestern coast of the Korea Strait. Detailed lithofacies and organic-geochem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stablish a high-resolution stratigraphy in the Korea Strait shelf and to reconstruct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associated with the Holocene marine transgression. The stratigraphic framework of the core was primarily established using 6 AMS $^{14}C$ ages. The sedimentary record of the core SSDP-102 allow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st 12.1 ka BP. According to the high-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profiles, lithofacies and organic-geochemical data, the core SSDP-102 can be divided into three units (III to I in ascending order) above the acoustic basement. The three units reflect distinct change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resulted from the post-glacial marine transgres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ree phases of sea-level change have occurred within the inner shelf of the Korea Strait following the Holocene marine transgression. (1) estuarine environments from ca. 12.1 to 6.2 ka BP; (2) near-shore environments with a period of decreased rising of sea level between 6.2 and 5.1 ka BP; (3) near-shore to modem marine environments after 5.1 ka BP. In particular, the present marine conditions influenced by the warm Tsushima Current have been gradually established after ca. 5.1 ka BP.

대한해협 북서연안의 내대륙붕(약 40m수심)에서 약 31m의 심부 코아 SSDP-102를 시추하여, 고해상의 층서를 확립하고 홀로세 해침에 의한 고환경 변화를 복원하기 위하여 퇴적상과 유기지화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추 코아의 층서는 6점의 AMS $^{14}C$ 연대측정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약 12.1 ka BP 이후의 퇴적환경 변화가 기록되어 있다. 탄성파 탐사자료와 퇴적물 암상 그리고 유기지화학 자료에 의하면 코아 SSDP-102는 음향 기반암 위에 쌓인 3개의 퇴적 단위 (Unit III, II, I)로 나뉘어 지며, 각 Uni에는 해침이 시작된 이후 3회에 걸쳐 뚜렷한 퇴적환경변화가 기록되어 있다. (1) Unit III은 12.1에서 6.2 ka BP까지 해침이 시작된 염하구 환경: (2) Unit II는 6.2에서 5.1 ka BP까지 해수면 상승이 둔화된 연안환경: (3) Unit 1은 5.1 ka BP 이후 현재까지 연안 및 외해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특히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현재의 퇴적환경은 약 5.1 ka BP 이후 점진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