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omen's Classic Tailored Suits in Modern Fashion

현대 패션에 나타난 클래식 테일러드 수트의 미적 특성

  • 함연자 (부산경상대학 패션디자인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women's classic tailored suits surviving, despite current millennial impulses tend toward disintegration in style. Through documentary study, the reason which women had chosen the mannish tailored suits instead of sumptuous dresses in the 20th century beginnings is considered carefully. Also, examin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women's classic suits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m. According to study, women had began to wear tailored suits acquiring physical comfort and the equality of the sexes. In the early stage, women imitated men's tailored suits in order to show seriousness, intelligent, capability for social success.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of women's social position women modified it to suits themselves to present intrinsic feminity as well as masculine values. By staying the basic form, classic tailored suits have undergone constant internal changes in relation to sexuality. The aesthetic properties of women's classic tailored suits can be inferred as moderation, dualism, and versatility. In conclusion, the credibility with own authority and the evolutionary character inhering in the classic tailored suits could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m.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p. 369
  2. Ingrid Loschek 외. 황현숙 역 (2001). 패션의 클래식. 예경, p.11
  3.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pp. 3-10
  4. Jennifer Craik (1995). The Face of Fashion. London : Routledge, p. 176
  5.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4th edition). from http://www.bartleby.com
  6. Cambridge dictionary. from http://dictionary.cambridge.org
  7. 시사엘리트영어사전 (2000). 시사영어사
  8. W. 타타르키비츠. 이용대 역 (1998). 여섯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과 실천, pp. 207-216
  9. Cambridge Dictionary(2003). from http://dictionary.cambridge.org.
  10.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4th edition). from http://www.bartleby.com
  11.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교문사. p. 620
  12. 신명진 (1998). 남성수트에 나타난 복고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13. 이미숙 (1999). 샤넬 슈트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48, p. 200
  14.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228
  15. James Laver (1995). Costume & Fashion. New York: Thames and Hudson. p. 221
  16. Maggie Hum. 심정순 외 역 (1995). 페미니즘 이론 사전. 도서출판 삼신각, p. 316
  17. 제수진 (1998).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6-7
  18.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231
  19.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258-259
  20. 정흥숙 (2000). 서앙복식문화사(제6개정판). 교문사, pp. 331-332
  21. 정흥숙 (2000). 서앙복식문화사(제6개정판). 교문사, p. 347
  22.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교학 연구사. p. 42
  23. 허준 (1995). 파리모드 200년. 유림문화사, p. 140
  24. 양유미 (2002). 샤넬의 작품속에 나타난 페미니즘적 성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6
  25. 정흥숙 (2000). 서앙복식문화사(제6개정판). 교문사, pp. 365-366
  26.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교학 연구사. p. 64
  27. 정수현 (2000). 20세기 여성 수트의 변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1
  28. James Laver (1995). Costume & Fashion. New York: Thames and Hudson. pp. 208-209
  29.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pp. 79-84
  30.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p. 149
  31.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288-290
  32. 정흥숙 (2000). 서앙복식문화사(제6개정판). 교문사, p. 369
  33.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314-318
  34. Gerda Buxbaum (1999). Icons of Fashion-The 20th Century. New York Prestel. p. 32
  35. Ingrid Loschek 외. 황현숙 역 (2001). 패션의 클래식. 예경, p. 24
  36. Sebastian Fishenich 외 (2000). A History of Fashion Germany : Konemann, p. 35
  37. Maria Costantino (1994). Fashions of a decade-the 1930s. London: Batsford. p. 52
  38. Ingrid Loschek. 이재원 역 (2002).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한길아트. p. 233
  39.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350-366
  40.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394-432
  41.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pp. 168-170
  42. James Laver (1995). Costume & Fashion. New York: Thames and Hudson. p. 269
  43. Sebastian Fishenich 외 (2000). A History of Fashion Germany : Konemann, pp. 72-78
  44.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 페미니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99
  45.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p. 170
  46. Sara M. Evans. 조지형 역 (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468-481
  47. 제수진 (1998).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48
  48. David Bond. 정현숙 역 (1992). 20세기 패션. 경춘사. p. 273
  49. Gerda Buxbaum (1999). Icons of Fashion-The 20th Century. New York Prestel. p. 135
  50. 손보경 (1996). 현대복식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식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37-38
  51.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pp. 79-84
  52. 제수진 (1998).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50-51
  53.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p. 391
  54. 이은지 (2003). 패션의 Fusion 현상. 삼성디자인넷.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