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I) -섬개야광나무 서식처현황 및 형태적 특성-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nung Island(II) -Habitat Situ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toneaster Wilsonii Nakai in Ulnung Island-

  • 신현탁 (대구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김용식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교 조경학과) ;
  • 유지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2003.08.01

초록

본 연구 결과 울릉도에 자생하는 섬개야광나무의 자생지를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곳 외에 추가로 탐문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새로운 자생지 두 군데를 찾아내었다. 현지 조사결과 남양 일몰대는 자생지가 일몰대 부근에 위치하여 사람에 의한 체손이 우려되며, 통구미의 자생지는 자생지의 위치가 산 능선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고 치수의 생육이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각 자생지에 생육하고 있는 개체는 약 25개체에서 50개체이며, 앞으로 기존의 천연기념물지역을 복원하기 위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섬개야광나무의 형태적 분석결과 꽃의 경우 지역별로 화판장과 화판폭의 차이가 없었지만, 잎의 경우에는 엽장. 엽폭. 엽면적 모두 3개지역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섬개야광나무가 다른 식물과 달리 서식처가 분획화되어 생육하는 지역의 환경적 특징에 의해서 잎의 모습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three wild populations including unrecorded two wild populations and Do-dong population, where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51, of Cotoneaster wilsonii in Ulnung Island were studied. The population at Yilmoldae, western coast of the island is in the threat by the visitors, while the population at Tonggumi is well conserved due to the geomorphologically difficult to access . The existing 25 to 50 maturing individuals are are potentially vital sources fer the island species recovery projects in the future.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lo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such as both length and width of the petals, while statistical difference were shown from the leaf characteristics such as length, width and area of the leaves in the three studies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식(1993) 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적 개발 (2) : 특정식물의 보전전략. 환경과조경 67: 94-97
  2. 김용식, 김태욱(1990) 한국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보전과 식물원 및 수목원의 역할.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10: 33-47
  3. 김종홍, 박문수, 김영문(1993) '92 자연 생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울릉군울릉도의 식생. 환경처,67-148쪽
  4. 김용식, 신현탁, 강기호 (2000a)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및 희귀식물 보전대책,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9(1): 13-30
  5. 김용식, 신현탁, 김종근, 김병도(2000b) 울릉도의 주요 식물군락의 식물군집구조.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9(1): 31-39
  6. 김용식, 장진성, 신현탁, 김휘, 최도열(2002) 울릉도 섬개야광나무의 보전학적 고려. 한국식불분류학회지 32(2): 159-175
  7. 문화재관리국(1971)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보고서 오대산 및 소금강 종합학술예비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27-36쪽
  8. 박기성 (1995) 울릉도. 대원사. 8-39쪽
  9. 산림청(1996)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도감, 환경청,256쪽
  10. 선병윤, 박정희, 곽민주(1996) 울릉도 및 독도 관속식물상의 특색. 자연실태 종합보고서 10: 113-135
  11. 환경부(1997) 자연환경보전법 (법, 시행령, 시행규칙)
  12. Chang, C. S. and J. I. Jeon(2002) Leaf flavonoids in Cotoneaster Wilsonii Nakai(rosaceae) from the island UIleung-do, Korea. Biochem. Syst. Ecology(In Press)
  13. Kim, Y.S.(2001) Ulnung and Cheju: Saving the biodiversity treasure islands of South Korea. Plant Talk 26: 3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