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 유주한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진영희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장혜원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조흥원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한주환 (충충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이철희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발행 : 2003.08.01

초록

본 연구는 미동산의 관속식물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충북지역 식물생태계 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아울러 희귀 및 멸종위기종에 대한 정확한 보전대책 수립 및 자생지복원을 위해 수행되었다. 충북 미동산(558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1과 215속 262종 38변종 3품종 등 총 303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매미꽃, 층층둥글레 등 총 2 종류로 조사되었고 한국 특산식물은 가는장구채, 매미꽃, 조팝나무, 터리풀, 자란초, 병꽃나무, 숫명다래나무, 고려엉겅퀴, 분취 등 9종류로 나타났다. 또한 본 조사지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수박풀, 달맞이꽃. 돼지풀, 개망초, 망초, 서양민들레 방가지똥 등 총 12종류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plant ecosystem in Chungcheongbuk-do with systematic grasping the vascular plant in Mt. Midong and to establish the accurate countermeasure of conservation on the rare species as well as to restore their habitats.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Mt. Midong were summarized as 303 taxa; 81 families, 215 genus, 262 species, 38 varieties and 3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ry Service were two taxa; Polygonatum stenophyllum, Hylomecon hylomeconoides. The nine taxa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endemic plants; Melandryum seoulense, Hylomecon hylomeconoides,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Filipendula palmata var. glabra, Ajuga spectabilis, Weigela subsessilis, Lonicera coreana, Cirsium setidens and Saussurea seoulensis. An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twelve taxa; Rumex crispus, Lepidium apetalum, Robinia pseudo-acacia, Tyifolium pratense, Trifolium repens, Hibiscus trionum, Oenothera odorata,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Taraxacum officinale and Sonchus oleraceu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식, 임동옥, 오현경, 고명희 (2003) 백두대간의 고남산과 시리봉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 환경생태학회지 16(4): 345-358
  2. 김태욱, 전승훈, 강기호, 전정일(1 993) 충청북도 괴산군내 조령산, 백화산, 군자산의 식물상- 관악수목원연구보고 13: 37-62
  3. 김현 (2002) 미동산 산림환경 생태왼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0(5): 89-97
  4. 박원규, 안건용(1 998) 주거단지의 환경지속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중요 명가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225-236
  5. 백원기 (2001)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존. 산림유전자원에 관한 심포지엄논문집 .66-99쪽.
  6. 산림청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국립수목원,255쪽
  7. 윤희빈 (2001) 미동산의 자생식물 및 입지환경. '2001 임업 시험연구 연찬회 주제발표. 43-44쪽
  8. 이우철, 백원기, 유기억(1997) 강원도의 약용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4): 275-291
  9.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정승선(2002)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 학회지 16(1): 104-123
  10.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1. 이창복(1983) 우리나라 특산신물 분포.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4: 71-113
  12.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윤미(2003) 백두대간 만복대. 고리봉. 수정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387-403
  13.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2: 69-83
  14. 조현제,이창석,오정수,길지현(1995) 서울시 산림식생의 군락유형과 생태적 특성. 산림과학 논문집 51: 1-13
  15. 국립환경연구원 (2003 , 8) http://nier.go.kr: 9000/alien-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