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과정 구성요소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peration of the Factors Constitute the Course of Practice

  • 이성남 (여주대학 인테리어디자인과)
  • 발행 : 2003.08.01

초록

실습은 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육자와 실습의 대상인 학생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실습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내용은 학생들에게 달성시키고자 하는 전공지식과 기술로서 교육자와 학생의 관계에서 전달과 수간의 절차가 관여한다. 이와 같이 실습과정의 커뮤니케이션이 교육자와 학생 그리고 실습의 내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들은 실습과정을 구성하는 의미의 대상이며 상호작용의 관계성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실습과정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실습과정을 구성하는 이들 의미대상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의미작용의 현상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가지고 실습의 과정에서 이들 의미대상이 형성하는 의미작용에 대한 현상적 분석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연구자는 실습과정에서 이들 의미대상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미작용의 요인들을 해석함으로써 실습과정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인식의 범주를 제시하였다.

An educational practice is a communicational course between educator and student with scheme and execution of studying. The communicational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 require teaching transmission and recipient process for educator and student as a major knowledges end techniques in order to achieve student's aim. The communication of practical course consists of educators, students, and practical contents, and they also form both meaning objects and mutual relationships for constitution of the practical courses. In order to develop the effective plan for practical process, we have to understand the phenomena of meaning operations which consists in connections of the practical exercise and the meaning object. This study is to approach a phenomenal analysis as respects the meaning operations how forms of tie meaning object exert in the practical course.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grasp properties of the practical course into the meaning object, and in these connections, suggest the category of cognizance to put execution in the practical course by interpreting factors of the meaning opera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