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포스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ers of Swiss Graphic Style

  • 홍성일 (경운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학부) ;
  • 안창호 (영동대학교 시각디자인과)
  • 발행 : 2003.08.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형성과 정착에 가장 큰 흐름을 차지하였던 포스터를 중심으로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체계적인 이해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이념, 그리고 시각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물론 편집디자인과 같은 포스터 외적인 다른 시각디자인 분야를 통해서도 스위스 그래픽 양식이 다듬어지고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지만 그 당시 대중들의 선동 선전에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디자이너들의 주된 표현 매체가 되었던 포스터를 통해 20세기 중반이후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인 양식의 교과서로 자리잡았던 스위스 그래픽 양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배경과 형성과정을 통해 그래픽 양식의 생성 의미를 되새겨 보고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시각적 특징과 그 양식의 특징들이 스위스 디자이너들의 포스터를 통해 어떻게 접목되고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어느 특정 디자인 양식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개인 디자이너의 독자적인 행보나 노력도 중요했지만 밑거름이 되었던 사회 문화적인 영향, 앞선 디자인 양식과 이념의 소산물과 함께 여러 디자이너들의 열정과 실험적인 결과의 진취적 과정이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swiss graphic style and examine the design ideology of designers and the visual features, with the focus on the posters that played the largest role in the formation and settlement of the swiss graphic style. Although through other visual designs such as editorial design, from the outside beyond posters, the swiss graphic style has evolved to exert a large influence around the world, based on the posters that served as the main medium for expression by designers and that were used the most in instigating the public, this study aims to cast light on the swiss graphic style, which has become recognized as the textbook of the graphic design around the world since the mid 20th century. First, the study casts light on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the graphic style through the background and the formation process, aiming to examine the visual features of the swiss graphic style and how they are integrated through the posters of Swiss designers. The personal activities and efforts of individual designer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certain design style; however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other equally important elements: the underlying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the legacy of previous design styles and ideologies, the collective enthusiasm of designers, and the active progress of experimental resear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