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tal Image의 평가를 위한 추론 -연상이미지에 의한 제품평가를 중심으로-

Ratiocination for evaluation of mental image -Evaluation leafing to characteristic position of associate image and product elements-

  • 송창호 (인덕대학 디지털산업디자인과)
  • 발행 : 2003.08.01

초록

소비자가 제품을 대할때의 감정은 제각기 다르게 평가되어 나타난다. 즉, '무엇인가 재미있는 기능이 있을 것 같다', '직접 만져보고 촉감을 느끼고 싶다' 등 구매를 결정하는 다양한 동기가 존재한다. 이와같은 동기를 유발시키는 제품 이미지는 어떻게 '은유(metaphor)'되고 평가되어 인간의 'Mental Image'에 존재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문제의식을 제기하여 제품에 대한 '연상 이미지', '제품요소의 특징적 위치' 및 '제품평가' 등을 주요 골자로 하여 고찰을 실시하였다. 명쾌한 결론 도출을 위해 먼저 3개의 가설(hypothesis)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verification)하기 위하여 종결적 조사(conclusive research)의 일환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단순집계(simple tabulation)에 의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였고, 이를 토대로 3개의 조사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소비자의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에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Mental Image의 평가를 위한 추론'에 관해 중요한 3가지 결론을 얻었다.

The consumer's feelings toward products is each evaluated and appears in different way that is to say there are various types of motives for deciding a purchase for example, there might be an interesting function and emotional reaction. How is the product image that induces motives like this metaphorized and evaluated to be existing in the mental image. This study inquired into, it by presenting problems conscious of both sides indicated above, the major points associated with image of the product, characteristic positions of product elements and evaluation of the product. To draw out a clear conclusion, first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case a study was performed as part of conclusive research for verification of this. The collected data was made, by simple tabulation to represent the overall flow, and based on this, concret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hree reserch items. The analysis method weighted on quantitative analysis with consideration to consumer's psychological aspect. As the result, three important conclusions could be drawn out or ratiocination for evaluation of mental image form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