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백두대간 체계 안에 내포된 유역 개념과 문제점

Watershed Concept Embedded in The Baekdoodaegan Frame

  • 발행 : 2003.08.01

초록

옛 지도와 문헌자료에는 그려질 당시에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생태적 개념이 담겨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의 고지도에 나타나는 유역 개념을 소개하고, 문헌 기록을 통해서 그 개념이 나타난 역사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많은 사람들이 백두대간에 대해 논의하는 글에서 산줄기에 역점을 두고 있지만 우리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다른 관점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것은 백두대간 체계가 유역 개념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개념은 1402년에 그려진 것으로 알려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되도"에서 나타나며, 12세기에 집필된 이인로의 청학동유람 기록에서도 이미 그런 시각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한국의 전형적인 경관짜임은 이러한 유역 개념에 바탕에서 피어났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을 키운 관점이 오늘날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경우도 있어 논의한다 선조들의 생각이 자랑스럽기는 하지만 그것들을 현명한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Ecological concepts were embedded in the old Korean maps and other documents. The concepts may represent ecological views which people had at the time. Through those ecological views, we propose that we can see a watershed concept in old Korean maps. We also discuss relevant record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is concept. While many scholars have highlighted in the Baekdoodaegan frame only the pan of the mountain ranges, we are pointing out other perspectives. Our emphasis is that the concept is explicitly related to a watershed concept. An old Korean map shows that people at that time divided the Korean Peninsula into many watersheds, which was as early as 1402. We can even say that the idea is identified in a literal document written in the 12th century. It is hypothesized that a typical Korean landscape configuration was developed in the arrangement of village and surrounding landscape elements situated in a watershed. In addition, we suggest that the view had some negative effects on the current society. Even though the ideas of our ancestor are something to be praised, further study is needed to improve it in a wise manner.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민속칼라북스(증보판) v.제3집 한국의 호랑이 김만희
  2.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김봉렬;관조
  3. 서울시행정사: 서울역사총서(1)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4. 朝鮮初期 地理志 硏究: 東國輿地勝覽을 중심으로 서인원
  5. 백두대간의 자연과 인간 우리 민족의 전통적 산지관(山地觀)과 백두대간 양보경;공우석(등 다수 저)
  6. 영남대학관 소장 韓國의 옛 地圖 영남대학교 박물관
  7.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오주석
  8. 경관생태학-환경 계획과 설계, 관리를 위한 공간생리 이도원
  9. 한국 옛 경관 속의 전통생태 이도원
  10. 땅과 한국인의 삶 땅과 고지도 발달 이상태;김형국(저)
  11. 땅 이야기 옛 지도에서 읽어지는 우리 산 그 줄기: 우리 땅 그 산들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창조의 모태 이우형;한국토지공사(저)
  12. 韓國의 古地圖 이찬
  13. 태백산맥은 없다 조석필
  14.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이인로 파한집 제1권 14항 지리산유람기록) 최석기(등 다수 옮김)
  15. 겸재를 따라 가는 금강산 여행 최완수
  16.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嶺南地方의 裨補 최원석
  17. 한국의 풍수사상 최창조
  18. 땅과 한국인의 삶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한영우;김형국(저)
  19.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 한영우;안휘준;배우성
  20. A review of statewide watershed management approach US EPA
  21.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82 Characterization of forest types in Northeastern China, using multi-temporal SPOT-4 VEGETATION Sensor data Xiao,X.;S.Boles;J.Liu;D.Zhuang;M.Liu https://doi.org/10.1016/S0034-4257(02)0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