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흥 민씨(1586~1656)묘 출토복식

The Excavated Costume from YeoHung Min(1586~1656)'s Grave

  • 송미경 (경기도박물관 보존과학실)
  • 발행 : 2003.07.01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lothes excavated from of YeoHung Min( 1586∼1656)'s grave, which enable to understand of woman's funeral clothes among upper class in mid 17C. Lady Min buried with her husband Jung (Clan of Dong Rae)'s grave where located in KwanAk gu, Seoul was move out another place in 1989. During excavation of the grave, 31 pieces form 5 different type of clothes and total 18 pieces form 8 different from Lady Min (Clan of YeoHung). Remarkable finding from the excavated clothes is the Nuwooli(veil) which is known to be discovered first time in Korea, and a piece of tooth, which is related with funeral custom of those day, and cotton seeds are found from chima(skirt) and Jogori(jacket). Jangot(coat) has been used for the use of over garment assuming the changes of Jogori form during mid of Josun dynasty. It is also remarkable that padded and quilted clothing is still being commonly used until mid-l7C.

키워드

참고문헌

  1. 東萊鄭氏家祿 卷之五. pp. 23-25
  2. 京畿道 (1992). 東萊鄭氏 興谷公墓出土遺衣 保存處理 報告書, 경기도
  3. 박진영 (2000). 조선시대 복식 유물에 관한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14-18
  4. 고부자. 박승원 (2003). 조경묘출토유의. 서울 : 역사박물관. pp. 130-133
  5. 김성환 외 (2003).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pp. 7-14
  6. 박성실 (1992). 朝鮮前期 出土服飾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73
  7. 박진영 (2000). 조선시대 복식 유물에 관한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50
  8. 고복남 (1991). 韓國傳統服飾史硏究. 一潮閣. pp. 365-373
  9.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pp. 348-370
  10. 이은주 (2001. 10). 출토복식을 통해 본 조선시대 민속의 몇 사례. 역사민속학회 연구발표회 80회 발표문 요지 참조
  11. 한글학회 (1996). 우리말 큰사전. p. 2684: 두루마기나 속곳에 옆을 터 놓은 구명
  12. 김동욱 (1985). 壬亂前後의 出土服飾, 百濟의 服飾. 서울: 백제문화재개발연구원. p .292
  13. 김애리 (1981). 羅兀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70-71
  14. 조선일보사 (2002. 9. 10). 기사참조
  15. 周喜지음, 임민혁 옮김 (1999). 주자가례. 서울: 예문서원. p. 364
  16. 李縡. 喪禮. 四禮便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