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의복(Digital Clothing)에 표현된 디지털 패러 다임

Digital Paradigm Depicted on Digital Clothing

  • 발행 : 2003.07.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gital Paradigm cords depicted on the Digital Clothing by borrowing nearby fields. Therefore, it will offer not only theoretical data but also databases for product development on functional and aesthetic views even though it is not systematically set up the idea vet. The Digital Paradigm cords of Interactivity. Nonlinearity and Combination in the Digital Clothing were determined. This study found that Interactivity Paradigm cord was expressed by the interaction of clothing and computer, the techniques of built in·attach·detach·fragment of the Digital Clothing at the external indicators, and maintained this personalizing that was pursued comprehension and the shape and silhouette of the existed clothing, that Nonlinearity Paradigm cord was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 successively approach, in other words the discontinuous moving possibilities of time and space, that Combination Paradigm cord was contained creative concept without fixed ideas through coordination of Digital Clothing that was combination. continuous creation, changes and process between heterogeneous factors. In conclusion, introduction of the new Digital Paradigm is going to accelerate on lasting development and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조길수 외4인 (2000). 디지털 의복. 섬유기술과 산업. 제4권 제1/2호, p. 148
  2. 조길수 외4인 (2000). 디지털 의복. 섬유기술과 산업. 제4권 제1/2호, p. 151
  3. http://www.microship.com
  4. http://www.dgp.toronto.edu/people/ematias/papers/chi96
  5. http://wearables.www.media.mit.edu
  6. http://iswc.gatech.edu/wearcon97/default.htm
  7. http://www.xybernaut.com
  8. 안영무 (2002). 입는 컴퓨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4권 제3호. pp. 219-220
  9. INEWS24. (2002. 05. 31)
  10. 김우영 (2001). 디지털 空間의 意義와 展望. 대한건축학회지, 1, pp. 99-101
  11. 이철재 (2001). 디지털건축과 Liquidizing Form. 대한건축학회지, 9, pp. 24-26
  12. 이준화 외 2명 (2001. 10). 현대 건축에 나타나는 불확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學術發表論 文集, 제21권 제2호
  13. 유성인 외 2명 (2001. 10). Digital Technology를 활용한 건축 형태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學術發表論文集, 제21권 제2호
  14. 최지운 외 2명 (2001. 10). 후기구조주의 사유체계에 의한 디지털 건축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學術發表論文集, 제21권 제2호
  15. 김상원 외 1명 (2001. 10). 디지털화된 건축디자인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學術發表論文集, 제21권 제2호
  16. 권영석 외 1명 (2001. 10). 도요 이토의 건축에 나타난 뉴미디어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學術發表論文集, 제21권 제2호
  17. 김성남 외 1명 (2001. 10). 건축의 비물질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學術發表論文集, 제21권 제2호
  18. 김정미 (2001. 9). 비선형 패러다임과 디지털 건축. 대한건축학회지, pp. 10-15
  19. 이명식 (2001. 9). 디지털建藥에서 추구하는 디지털 自然主義. 대한건축학회지, pp. 19-23
  20. 이명식 (2002. 6). 디지털 정보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건축학회지, pp. 33-37
  21. 신승환 (1999). 디지털 혁명과 문화의 변화. 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4호
  22. 김봉현 (2002. 1). e커머스 환경에서의 인터넷마케팅 현황과 전망 - 디지털 미디어의 다변화와 편재적 인터넷(Ubiquitous Internet). 패러다임의 도래. 정보처리, 제9권 제1호, pp. 135-141
  23. 박종삼, 이정기. 디지털 경제시대의 新 패러다임. 流通情報學會誌, 제3호 제2권, pp. 53-65
  24. 송민택. 신경영 패러다엄의 모색. 신한종합연구소, 신한리뷰-기업과 경영
  25. http://www.korealink.co.kr/collect/shinhan/summer1/0.htm
  26. 김종한 (2000. 5. 2). 디지털시대의 경제 :시공압축의 신경제 원리와 변화하는 인간의 경제행위. 고대대학원신문 기고문
  27. 김정미 (2001. 9). 비선형 패러다임과 디지털 건축. 대한건축학회지, p. 14
  28. 이명식 (2002. 6). 디지털 정보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건축학회지, p. 35
  29. 이명식 (2002. 6). 디지털 정보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건축학회지, pp. 36-37
  30. 이재언 (2000). 디지털 환경과 변화되는 미의식. 문화예술, 8월호, <문화예술현상 읽기 中〉
  31. 정용도 (1999). 디지털 시대의 예술가와 사회. 월간미술, 8월호,
  32. 이명식 (2002. 6). 디지털 정보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건축학회지, p.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