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the Past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s -In the View of Ernest's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 재고 -Ernest의 수학교육철학적 관점에서-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So far there have been intermittently quantitative and syntactic analyses of the past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s to comprehend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However, we think we also need qualitative and semantic analyses to comprehend and examine the past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s exactly and so to look out on our futur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Generall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flects both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mathematics itself that form the background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sociological aspects in real mathematics class that could be the output of the curriculum. With this view, the logic of the social constructivism can be an appropriate way that leads mathematical philosophical analysis and sociological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With this kind of method of analysis we got the results that: the past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s mainly have the tendency from the ideology of the progressive educator(the 1st) to of the technological pragmatist(the 2nd), from that of the old humanist(the 3rd and 4th) to the progressive educator(the 5th and 6th) again, and lastly that of social constructivism(the 7th).

그 동안 우리나라 수학과교육과정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수량적, 외형적 분석에서 나아가 의미론적 파악을 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교육과정의 변화 경향을 수학교육철학적 견지에서 재고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수학과교육과정은 해당 시기 학교수학의 내용이 되는 수학에 대한 철학적 입장과 교육과정 실천의 장인 수학 수업 현장이 내포해야되는 사회학적 입장을 동시에 반영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육에 대한 수리철학적 분석과 사회학적 분석을 조화롭게 다룬 Paul Ernest의 사회적 구성주의 중심의 수학교육철학적 관점을 도구로 우리나라 20세기 중반이후의 초등학교 수학과교육과정의 변화 경향을 재음미해 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진보주의(1차)에서 과학기술적 실용주의(2차)로, 그리고 구인본주의(3, 4차)에서 진보주의 경향(5, 6차)으로, 그리고 사회적 구성주의(7차)로 변화하는 경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