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on the Korean local corn line collected from Bus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a total of 49 lines were selected and assess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In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7 characteristics, 67.4% and 86.3% of total variation could be appreciated by the first two and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respectively. Contribution of characteristics to principal component was high at upper principal components and low at lower principal components. Biological meaning of principal component and plant types corresponding to the each principal component were explained clearly b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incipal component and characteristic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plant and ear, and the duration of vegetative growing perio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ear and tiller. But the meaning of the third and fourth principal components were not clear.
육종재료를 얻기 위하여 부산·경남지역에서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 49 계통을 선발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료는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재래종 옥수수를 해석하고 계통분류를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 개의 형질을 이용하여 실시한 주성분분석에서는 제 4주성분까지를 가지고 전체 변동의 86.3%를 설명할 수 있었고, 제 2 주성분까지는 전체 변동의 67.4%를 설명할 수 있었다. 주성분에 대한 형질들의 기여율은 형질에 따라 달랐고 상위 주성분에서 켰으며 하위 주성분에서 작았다. 주성분과 형질과의 상관계수는 주성분의 생물학적 의의와 주성분에 대응한 식물체의 형을 명확히 하였는데 제 1 주성분은 식물체의 크기 및 생장기간에 관련된 주성분이었고, 제2주성분은 이삭수와 분얼수에 관련된 주성분이었다. 제 3주성분과 제 4 주성분에서는 형질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