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irst Report of Pink Ro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Caused by Phytophthora erythroseptica in Korea

Phytophthora erythroseptica에 의한 감자 홍색부패병 발생

  • 류경열 (고령지농업시험장 산지작물과) ;
  • 김점순 (고령지농업시험장 산지작물과) ;
  • 김종태 (고령지농업시험장 산지작물과) ;
  • 함영일 (고령지농업시험장 산지작물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Pink ro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occurred at Pyeongchang in Gangwon and at Bosung in Junnam province since 1999. The disease incidence in the surveyed areas was about 5% of harvested potatoes in 2002. Affected tubers showed a dull brown appearance and the lenticels and eyes on tubers turned dark brown. The cut surface of the diseased tuber colored faint pink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eased tuber becomes deep salmon pink within 30 min. The pathogen isolated from the diseased tuber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erythroseptica based on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Mycelial mat was fairly fluffy, rosette or stellate patterns and rounded or angular hyphal swellings were farmed in water,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ranged from 5 to 3$0^{\circ}C$ and optimal temperature was $25^{\circ}C$. Non-papillate sporangia were persistent on stalk and ellipsoid, ovoid, obpyriform or distorted in shape, often with a constriction distal in the middle. Size of sporangia was 41.3~69.6$\times$26.8~47.4 (av, 55.5$\times$37.1) ${\mu}{\textrm}{m}$. Sexuality of Phytophthora erythroseptica was homothallic. Oogonia were 30~46 ${\mu}{\textrm}{m}$ in diameter and oospores were 28~35 ${\mu}{\textrm}{m}$ in diameter, Elongated or cyclindrical antheridia were all amphigynou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otato pink rot caused by Phytophthora erythroseptica in Korea.

1999년 강원도 평창의 고랭지 감자 재배지에서 감자 홍색부패병이 발견된 이후 2001년과 2002년에는 전남 보성의 감자 재배지에서도 발생이 확인되었고 발병이 심한 지역에서는 약 5%정도의 이병율을 보였다. 병든 감자의 주요 병징은 괴경 외부가 연갈색으로 변색되어 부패증상이 나타나고 피목과 눈이 흑갈색으로 변화되어 건전 부위와 이병 부위가 쉽게 구분되었다. 또한 괴경 내부는 삶은 감자처럼 스폰지 형태로 변하고 냄새가 없었으며 괴경 절단면은 공기 중에 노출된지 30분 이후에 핑크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균사는 배지에 따라 방사형, 장미꽃 또는 솜털 모양으로 특징적인 생육을 하였고, 균사생육온도는 5.0~3$0^{\circ}C$범위이고 최적온도는 $25^{\circ}C$였다. 유주자낭은 유두돌기 없이 선단 부위가 평편하고, 계란 또는 서양배 모양의 다양한 형태로 크기는 41.3~69.6$\times$26.8~47.4(평균 55.5$\times$37.1) $\mu\textrm{m}$이었다. 병원균은 동종생식에 의하여 유성생식기관을 형성하여 동일 배지에서 배양초기부터 엷은 황색의 난포자를 대량으로 생산하였고 장난기 형태는 구형으로 크기가 30$\times$46 $\mu\textrm{m}$이었고, 장정기는 저착성이고 형태가 신장된 타원형으로 크기가 13$\times$14 $\mu\textrm{m}$이었다. 이들 병원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성에 의거, Phytophthora erythroseptica에 의한 감자 홍색부패병으로 동정되어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Erwin, D. C. and Ribeiro, O. K. 1996. Phytophthora disease worldwide. APS press. 323-325p
  2. Ho, H. H. and Jong, S. C. 1989. Phytophthora erythroseptica. Mycotoxon 36(10): 73-90
  3. Hooker, W. J. 1993. Compendium of potato disease. APS press. 39-40p
  4. Rowe, R. C. and Schmittenner, A. F. 1977. Potato pink rot in Ohio caused by Phytophthora erythroseptica and P. cryptogea. Plant Disease Reporter 61(10): 807-810
  5. Stemps, D. J. 1978. CMI description of pathogenic fungi and bacteria No 593. Phytphthora erythroseptica
  6. Vargas, L. A. and Nielsen, L. W. 1972. Phytophthora erythroseptica in Peru; its identification and pathogenesis. American Potato Journal 49: 309-320 https://doi.org/10.1007/BF02861669
  7. 류경열, 김령희, 이영희, 허노열. 1988.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백합 역병.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5): 458-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