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abrid-C를 함유한 피부 미백용 트윈케익 파우더 개발

  • 이선영 ((주)나노하이브리드) ;
  • 양재훈 ((주)나노하이브리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
  • 한양수 ((주)나노하이브리드) ;
  • 이승화 (나드리 화장품 주식회사) ;
  • 홍성호 (나드리 화장품 주식회사) ;
  • 최진호 ((주)나노하이브리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비타민 C(L-ascorbic acid)는 강한 항산화성, 피부에 대한 높은 안전성으로 인해 피부의 노화방지, 미백, 주름 개선 등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써 많은 관심이 있는 물질이지만,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 분해되므로 화장품 제형으로 포함시키는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C 의 안정성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체 및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무기물을 사용하여 비타민 C 를 캡슐화(encapsulation)한 분말상의 유-무기 복합물질 Vitabrid-C 를 합성하고,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트윈케익 파우더를 개발하였다. 우선 Vitabrid-C 는 수용액상에서 비타민 C 를 수화된 산화아연(ZnO)으로 1 차 캡슐화하여 나노입자를 형성시키고, 그 표면을 실리카(silica)나노 입자로 한번 더 코팅하여 표면의 껍질이 다공특성을 갖는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완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Vitabrid-C는 순수 비타민 C 에 비해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으며, 캡슐 내 비타민 C 가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특성을 발휘하였다. 또한 Vitabrid-C는 입자의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하여 트윈케익 처방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었다. Vitabrid-C와 순수 비타민 C의 생화학적 동등성에 대한 평가는 tyrosinase 억제능(L-DOPA oxidase 억제) 및 DPPH항산화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트윈 케익 처방에 적용된 Vitabrid-C 에서 비타민 C 의 피부 투과경향을 Franz diffusion cell 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Vitabrid-C가 포함된 트윈케익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25 세 이상되는 여성의 전박에 색소 침착을 유도한 후 피부색 개선 효과 평가를 통해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andbook of vitamns(2nd ed.) L. J. Machlin
  2. Gynecologic Oncology v.88 J. A. Drisko;J. Chapman;V. J. Hunter
  3. Anal. Cham. v.72 A. Bossi;S. A. Piletsky;E. V. Piletska;P. G. Righetti;P. P. F. Turner
  4. J. Med. Chem. v.45 I. Yamamoto;A. Tai;Y. Fujinami;K. Sasaki;S. Okazaki
  5. J. Nurt. Biochem v.9 H. Tsuchiya;C. J. Bates
  6. Life Science v.71 Y. Horino;S. Takahashi;T. Miura;Y. Takahashi
  7. Int. J. Pharm v.188 M. Gallarate;M. E. Carlotti;M. Trotta;S. Bovo
  8. J. Pharm. Biomed. Anal. v.15 R. Austria;A,Semenzato;A. Bettero
  9. Int. J. Pharm. v.222 P. Spiclin;M. Gasperlin;V. Kmetec
  10. J. Chromatogr. A. v.705 A. Semenzato;R. Austria;C. Dall'Aglio;A. Bettero
  11. Bull. Korean Chem. Soc. v.22 S. H. Hwang;Y. S. Han;J. H. Choy
  12. J. Afric. Food Chem L. Yu
  13. J. Agirc. Food Chem. N. Yokochi;T. Morita;T. Yagi
  14. J. Agric. Food Chem. v.47 I. Kubo;I. Kinst-Hori
  15. J. Agric. Food Chem. v.49 M. Jimenez;S. Chazarra;J. Escribano;J. Cabanes;Garcia-Carmona
  16. J. Agric. Food Chem v.49 Y. Tachibana;H. Kikuzaki;N. H. Lajis;N. Nakatani
  17. J. Agric. Food Chem v.50 D. O. kim;K. W. Lee;H. J. Lee;C. Y. Lee
  18. J. Agric. Food Chem v.48 Y. Sawai;J. H. Moon
  19. Int. J. Pharm v.252 J. C. Oliver;S. Raouan;W. Couet
  20. Int. J. Pharm v.253 D. S. Shaker;A. H. Ghanem;S. K. Li;K. S. Warner;F. M. Haxhem;W. I. Higuchi
  21. Int. J. Pharm v.254 S. Peltaola;P. Saarinen-Savolainen;J. Kiesvaara;T. M. Suhonen;A. Urtti
  22. Bull. Korean Chem. Soc. J. H. Yang;S. Y. Lee;Y. S. Han;K. C. Park;J. H. Choy
  23. Principles of Aquatic Chemistry M. M. Mor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