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atural Mapping between Burner and Switch of Gas Range by Color coding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칼라코딩을 통한 버너와 스위치의 자연적 대응에 관한 연구

  • 오해춘 (두원공과대학 산업정보디자인과) ;
  • 홍지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지과학)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People store information not only in their Drain but also material things. Norman called it knowledge in the world. The general way to store the information is to paste labels. 4 burner gas range force user to make conceptual model between burner and switch to see labels. but those are cognitive stress. Norman suggested spatial analogies for natural mapping between display and control. However the way of his methods in spatial analogies was not compatible with kitchen atmosphere. To solve those problems 1 suggested color coding .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mapping between burner and switch is realized by color coding. To testy the hypothesis 1 compared A group using general gas range with B group using color coded gas range. The result showed difference between A and B in accuracy ( F (1, 38) = 17.892, p < 0.01) and response time ( F (1, 38) = 6.726 p < 0.05). The result of this test is to certify that color coding affect peoples by presenting the difference accuracy and response time. As result this study presents that color coding can be compatible the product having importance to certify in the design process.

사람들은 기억해야할 정보를 머리 속에만 저장하지는 않는다 그러한 정보를 사물에 저장할 수 도 있는데 노만은 이를 세상 속 지식이라고 부른다. 가장 보편적이면서 일반적으로 정보를 사물에 저장하는 방식은 이름표를 부착하는 것이다. 4구 가스레인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버너와 스위치간의 관계를 기억할 필요 없이 이름표를 보고 이들 관계에 대한 개념모형을 만들도록 가스레인지는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일일이 이름표를 보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은 인지적 스트레스일 것이다. 노만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버너와 스위치가 자연적으로 대응되도록 공간적 유사성을 통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의 방법은 현실적으로 주방의 구조에 잘 부합할 수 없어 사용되기가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칼라코딩을 제안하였다. 버너와 스위치를 칼라로 코딩하면 자연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관점에서 일반적인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집단과 칼라코딩 된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집단을 자극에 대한 정확성과 반응시간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두 집단간의 과제에 대한 정확도의 차이(f(1,38)=17.892, p<.01)와 반응시간(F(1,38)=6.726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여 칼라코딩의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칼라코딩이 디자인과정에서 인지적 분류가 중요한 제품들의 디자인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