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nagement for the Cultivate Land of Greenhouses through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in Seoul Urban Area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 방안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Reviewing the trend of land use in urban cultivated land, the large part of land has been changed into the high-profit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or the developing areas. So, its percent of cultivated land in land use comparing to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would get far hig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in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and to find its alternatives for management, which would be a basis of reg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in terms of space and time.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hose its area reaches 19.3ha, in Seoul are mainly dispersed on the south eastern part of Seoul and its area is larger than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hape index analysis, its perimeters were very simple. Also, Analyzing the first three major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the most frequent biotope types of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ere that transportation facility represented 60%, forest, 43%,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36%, and residential area, 33%. The cause why the percent of transportation facility was higher in the neigh-boring land use types was assumed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rop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the cultivated land would be managed and contributed to enhance biodiversity and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도시농경지의 토지이용경향을 살펴보면 이들의 상당부분은 개발용지와 같은 도시적 용도 또는 고수익 형태의 시설경작지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경지에서 시설경작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경작지 유형에 비해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설경작지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을 넓은 공간과 시간의 관점에서 계획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시설경작지는 주로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면적은 19.83ha로 다른 농경지 유형에 비해 넓고 Shape Index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변부가 상당히 단순한 패취이다. 또한 시설경작지 패취에 인접한 상위 3개의 토지이용을 분석하면 시설경작지 패취에 가장 많이 인접해 있는 유형은 교통시설지로 분석패취의 60%에 인접해 있었으며, 분석패취의 43%가 산림지에, 36%가 다른 유형의 농경지에, 그리고 33%가 주거지에 인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경작지 주변의 주된 토지이용이 교통시설지로 나타나는 것은 농작물 생산과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경관생태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농경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혁 (1991) 한국 농경지대의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82-132쪽
  2. 농지법[일부개정 2002. 12. 30 법률 제06841호] 2003.10.01 시행예정
  3. 대한상공회의소(1990) 농촌무엇이 문제인가. 알기 쉬운 경제시리즈 No. 49. 52쪽
  4. 박중춘(2000) 한국시설원예 산업의 발전과제와 문제점 심포지움. 시설원예 산업의 재도약 방안: 한국시설원예연구회. 1-42쪽
  5. 서울특별시(1979) 서울통계연보
  6. 서울특별시(1986) 서울통계연보
  7. 서울특별시(1991) 서울통계연보
  8. 서울특별시(1996) 서울통계연보
  9. 서울특별시(2000a) 서울통계연보. 72-75쪽
  10. 서울특별시(2000b) 서울시 비오톱현황조사 및 생태도시조성지침 수립. 1. 2차년도 연구보고서
  11. 서울특별시(2002) 서울시 비오톱유형별 생태계 복원 및 생물다양성증진 방안 연구(1단계 ). 421쪽
  12. 송인주, 진유리(2002) 도시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모델-서울시를 대상으로-. 환경생태학회지 제 16권 3호. 249-260쪽
  13. 이도원(2001) 경관생태학. 15쪽
  14. 이인용 등(2001) 논, 밭 및 과원 제초제의 농가사용실태, 한국잡초학회지 21(1). 58-64
  15. 조상태 등(2000) 서울특별시 시설채소비닐하우스 단지의 잡초발생양상과 방제실태. 한국잡초학회지 20(1): 1-8
  16. 최중대(2000) 농업유역의 비점원 오염과 환경관리. 농어촌과 환경 Vol.10(2). 29-38쪽
  17. 통계청(1986) 한국통계연감
  18. 통계청(1989) 한국통계연감
  19. 통계청(1992) 한국통계연감
  20. 통계청(1995) 한국통계연감
  21. 통계청(1998) 한국통계연감
  22. 통계청(2000) 농업총조사보고서-전국편-. 16쪽
  23. 통계청(2001) 한국통계연감. 64-65쪽
  24. 한국경관생태연구회(2001) 경관생태학. (사)동화기술. 420쪽
  25. Agger, P & J. Brandt, Brandt (1988) Dynamics of small biotopes in Danish agricultural landscapes. Landscape Ecology 1: 227-240 https://doi.org/10.1007/BF00157695
  26. Department of Agriculture USA(1981) USDA, RURAL Development Environmental Compliance Library, USDA, Department Policy for the Farmland Protection Policy Act
  27. Flury, A. M. and R. D, Brown(1997) A framework for the design of wildlife conservation corridors with specific application to Southwestern Ontario.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37: 163-186 https://doi.org/10.1016/S0169-2046(97)80002-3
  28. GAO(1999) Community Development-Extent of Federal Influence on 'Urban Sprawl' is Unclear-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ers.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GAO/RCED-99-87, pp. 28-29
  29. Kuminoff, N.V., A.D, Sokolow and D.A. Sumner,(2001) Farmland Conversion: Perception and Reality. Agricultural Issues Centre(AIC Issues Brief), University of California
  30. Libby, L.W.(2000) Farmland as a Multi-Service Resource: Policy Trends and International Comparisons.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riculture Policies Under the New Round of WTO Agriculture Negotiations, Taipei, Taiwan, December 5-8, 2000
  31. Oliver L. Gillbert and Penny Anderson(1997) Habitat creation and repair, Oxford Uinv. Press. pp. 194-199
  32. Song, I.-J., S.-K. Hong and H.-O. Kim(200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fluenced by land use pattern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Multifunctional Landscape Ecology, Roskilde, Denmark. Oct. pp. 18-20
  33. Song, I.-J., S.-K. Hong and H.-O.Kim, Y.-R. Gin(2003) The Pattern of Landscape Patches and Invas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eveloped Areas of Urban Seou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in print, 2003)
  34. Staley, S.R.(2000) the 'Vanishing Farmland' Myth and the Smart-Growth Agenda. Reason Public Policy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