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otope Evaluation of City Center Area for the Nature Experience and Recreation

자연체험 및 휴양기능을 중심으로 한 도시밀집지역 비오톱 평가

  •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도후조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iotope structure of the city center area of Jung-gu for nature experiences and recreation purposes. Jung-gu is the most extremely and rapidly urbanized area of Daegu.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biotope structure of a city center area would be different from the urb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11 biotope type groups as designated as commercial and work-area biotope type group, and 41 detailed biotope types designated as commercial areas with a lack of greenspace biotope type. 2) The commercial and work area biotope type group has the largest area with 34% of the total area, and the square biotope type group has the smallest area with 34% of total area. 3) The result of primary biotope evaluation is that there are 12 biotope types that have greater than third grade, apart from the biotope type of park that includes natural vegetation. The first grade of biotope type has not appeared in this area, however, the fifth grade of biotope type has 20 biotope types with the biotope type of construction work area (JA). 4)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biotope evaluation are 1 biotope for la, 9 biotopes for 2a, 9 biotopes for 2b, 14 biotopes for 2c and no biotope for 2a. This study suggests that a detailed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high-value biotope areas in the city center area must be continued.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래, 허준, 노재현(1993) 녹지공간의 자연성과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 26-37
  2. 김귀곤, 김훈희(1998) 도시지속성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2(3) : 172-195
  3. 김창석, 김선범, 이상대, 황희연, 김익기, 강우원, 김용창, 은기수, 서충원(2000) 도시중심부연구. 보성각
  4. 김한수. 임준홍, 이수상(1998) 도심 주거지에서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9(1) : 99-107
  5. 나정화. 이석철(2000)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자연체험및 휴양의 관점에서. 한국조경학회지 28(3) : 72-86
  6. 대구광역시(2000) 대구광역 도시권 통계
  7. 류연수(2000) 도시 비오톱의 평가지표 설정.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
  8. 박경훈(1998) 환경보전을 위한 종합적 녹지평가 방법론.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찬용, 이영대(1997) 도시경관 평가에 있어서 녹지의 역할과계획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1) : 18-35
  10. 서울특별시(2000) 도시 생태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조성지침 수립 -1차년도 연구보고서
  11. 서울특별시(2001) 우면산 경관시뮬레이션
  12. 안봉원(1982) 도시근교림의 Recreation 기능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이용행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0(1) : 9-19
  13. 엄봉훈(1986) 대구시 공원녹지의 만족도 평가 및 녹지의식에관한 연구. 새마을 연구논문집 6 : 61-85
  14. 이경재, 오충현(2000) 도시생태계보전을 위한 비오톱 평가기법 -새서울 타운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5) : 130-139
  15. 이동근. 윤소원(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지표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7(1) : 93-107
  16. 장병문(2001) 자연휴양림의 개발요소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3) : 19-28
  17. 전명진(1996) 서울시 도심 및 부도심의 성장과 쇠퇴.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1(2) : 33-45
  18. 정문선. 이명우(2000)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 공간의 조성방안. 한국조경학회지 28(4) : 75-90
  19. Bauer, G., K. Gerresheim und U. Kisker(1976) Landschaftsrahmenplan ErholungsPark Ville. Beitraege zur Landesentwicklung 35 : 149-173
  20. Forman. T. T.(1995) Land Mosaics. Cambridge UniversityPress
  21. Kaplan. R.(1973) Some PsychologicaI Benefits of Gardenmg. Environment and Behavior 6 : 145-161
  22. Lewis, C. A.(1973) People Plants Interaction. A New Horticultural Perspective Horticultuhst 65 : 16-21
  23. Marks. R.(1989) Meohoden Oekologischer Planung im Kommunalen Umweltschutz am Beispiel der Stdt Dortmund. VGFO Band 18. Goeltingen. pp. 589-592
  24. Schulte. W. and R. Marks(1985) Die Biooekologische Bewertung Innerstaedtischer Gruenflaechen Als Begmendung fuer Ein Naturnah Gestaltes Gruenflaechen-Sch-utzgebietssystem. Natur und Landschaft 60(7/8) : 302-304
  25. Sukopp. H.(1980) Biotopkartierung m Besiederten Bereich von Berlin. Garten und Landschaft 80(7) : 560-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