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LIMINARY STUDY ON THE ABRUPT DENSITY ENHANCEMENT IN LOW LATITUDE REGION DETECTED BY KOMPSAT-I

KOMPSAT-I으로 관측한 저위도 이온층 밀도 급상승 현상에 대한 연구

  • 박재홍 (한국 과학 기술원 물리학과) ;
  • 이재진 (한국 과학 기술원 물리학과) ;
  • 이은상 (한국 과학 기술원 물리학과) ;
  • 민경욱 (한국 과학 기술원 물리학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SPS(Space Physics Sensor) onboard the KOMPSAT-I, which was launched at 1999, had transmitted ionospheric plasma density and electron temperature during the solar maximum from June 2000 to August 2001, SPS IMS onboard KOMPSAT-I occasionally detected abrupt plasma density enhancement in low-latitude region, in which the plasma density abruptly increases in a narrow regi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entire operational period shows that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se events has its peak value at the Atlantic region and at the Hawaiian region where the geomagnetic field strength is weak.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has no correlation with Dst index or F10.7 index. The correlation between plasma density and the electron temperature shows a wide variety, but the anti-correlated cases are dominant.

SPS(Space Physics Sensor)는 1999년 발사된 다목적 실용 위성 1호(KOMPSAT-I)에 실린 관측 장비로서, 태양 활동 극대기인 2000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지구 이온층에 관한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였다. 이 자료 중 때때로 저위도 지역에서 급격한 플라즈마 밀도 증가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통계적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구 자기장이 약한 대서양 지역과 하와이 지역에서 발생 확률이 가장 높으며, 지자기 활동성 지수인 Dst나 태양 활동성을 나타내는 F10.7지수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도 증가 지역 내의 전자 온도 변화는 개별 사건마다 증가, 유지, 또는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adio Sci. v.26 Aarons, J. https://doi.org/10.1029/91RS00473
  2. JARTP v.64 Devasia, C. V.;Jyoti, N.;Subbarao, K. S. V.;Viswanathan, K. S.;Tiwari, D.;Sridharan, R.
  3. GRL v.21 Hanson, W. B.;Urquhart, A. L. https://doi.org/10.1029/94GL01580
  4. JGR v.106 Huang,C. Y.;Burke, W. J.;Machuzak, J. S.;Gentile, L. C.;Sultan, P. J. https://doi.org/10.1029/2000JA000319
  5. JGR v.99 Hysell, D. L.;Seyler, C. E.;Kelley, M. C. https://doi.org/10.1029/93JA02960
  6. JGR v.107 Hysell, D. L.;Shume, E. B. https://doi.org/10.1029/2001JA000227
  7. JASTP v.59 Jahn, J.-M.;LaBelle, J.;Terumann, R. A.
  8. JGR v.103 Kil, H.;Heelis, R. A. https://doi.org/10.1029/97JA03344
  9. JGR v.107 Kim, Y. H.;Hong, S. S.;Weinberg, J. L. https://doi.org/10.1029/2001JA009232
  10. Ph.D. Thesis, KAIST Lee, J.-J.
  11. JGR v.102 McDaniel, R. D.;Hysell, D. L. https://doi.org/10.1029/97JA02038
  12. JGR v.106 Mendillo, M.;Meriwether, J.;Biondi, M. https://doi.org/10.1029/2000JA000148
  13. PSS v.36 Oyama, K.-I.;Schlegel, K.;Watanabe, S. https://doi.org/10.1016/0032-0633(88)90025-6
  14. private communication Watanabe, S.
  15. JGR v.107 Whalen, J. https://doi.org/10.1029/2001JA90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