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oning Analysis of Archaeological Sites Using GPR

지하레이더를 이용한 유적지 위치 해석

  • 장호식 (부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진수 (부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종출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peformed in two ways, which are 'Before' 'After' carrying out trench search through GPR which is called 'Non Destructive Geophysical' to the expected area where the remains of historic interest could be distributed within the highway construction site from Dae-gu to Busan. As a result, the layer containing gravel and sand has more irregular specular surface then others containing silt and clay, And, apart block irregular specular surfaces of prominence and depression patter appeared. After performing trench search, verified that the site yield dolmens and lots of stone implements.

본 연구는 대구 - 부산간 고속도로 건설구간 내에서 고고학적 유적지가 분포 예상되는 지역에서 비파괴 물리탐사방법인 GPR 탐사방법을 이용하여 트렌치 조사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각각 실시하였다. 이 결과로 자갈 및 모래가 많은 지층은 실트 및 점토가 많은 지층보다 불규칙한 반사면들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 구간에서는 불규칙적인 요철 모양의 반사면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트렌치 조사 후에 지석묘 또는 다수의 석기가 출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