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ning of Alternative Forest Road Network Using GIS

GIS를 이용한 대안별 임도노망의 계획에 관한 연구

  • 전권석 (임업연구원 중부임업시험장 임도연구실)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 a proper planning method to select a optimal forest road network in mountains forest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examine the field applicability,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National Forest at Mt. Kumsan in Namhae-gun, Gyungsangnam-do. The main results from altogether six alternative road route plans were derived from these criteria obtained the alternative route plan No.2 has two layout criteria, longitudinal gradient and earth work volume, and it showed similar pattern of existing forest road network which was designed mainly ground slope and longitudinal gradient. The alternative route plan No.6 has four criteria, longitudinal gradient, earth work volume, investment effect and landscape impact. It was different for the lowest forest road density among the alternatives and the pattern of the forest road layout was radial form, which was also quite different to other alternatives. For optimal forest road network planning, GIS provide the efficient and resonable solutions for decision making to provide the support for evaluation about various alternative road networks. If detailed inventory and relevant data are provided and also clear and objective indicators for evaluations are set up, it could be applied to preliminary analysis and detail planning stage to prevent undesirable effect such the land slide and soil erosion due to inadequate planning for forest road network.

산림경영계획의 측면에서 임도계획의 기본이 되는 복합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GIS를 이용하여 경상남도 남해군에 위치한 금산시험림 주변의 국유림을 대상으로 6가지 대안별 임도망을 편성하여 적용성을 검토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선선정기준 중 종단물매와 토공량의 최소화를 조합한 대안노망2의 경우 일부 노선이 기설임도와 유사한 노선형으로 배치되어져 현행 임도계획시 종단물매와 산지경사를 실측하여 임도를 시공하는 사실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4가지 노선선정기준 모두를 조합한 대안노망6의 경우 노선배치가 지점(2)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형성함으로서 타 대안노망과 상이한 노선형을 나타내었다. 대안별 임도망을 기설임도와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임도망 계획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합리적인 계획수립은 물론, 중장기 산림개발추진계획에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GIS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대안노망별 노선선정을 통하여 최적 대안노망을 제공함으로서 최종 의사결정자가 대안노망 평가를 용이하도록 지원하여 의사결정지원체계로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임도개설 후 자연재해(산사태, 산지붕괴)에 따른 민원유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