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TECHNICAL ENVIRONMENT SURVEY (1)

고심도 지반환경 조사 - 지반조사 (1)


Abstract

Lots of various utilities are buried under the surface of the earth. The effective handling of the underground utilities is becoming the big subject and project for the harmonious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city. To detect the position and depth of buried underground utilities, GPR and Induced EM surveys are commonly used. However, they have limitations, such as shallow skin-depth and non-availability in the areas where subsurface materials are not homogeneous and are compose of clays and/or salts and grave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icient geophysical method which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For this purpose, various geophysical mehods were applied in the site of poor geotechnical environment.

지하에는 수많은 각종 시설물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하매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는 도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중요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지하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의 위치 및 깊이를 조사하기 위한 탐사방법으로 GPR탐사 및 유도전류 방법이 거의 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가탐심도가 매우 낮으며 지하매질이 매우 불균질 하거나 점토 염분 자갈 등이 많은 곳 및 주변의 전자기적 잡음이 심한 곳에서는 조사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상수관이 천부 및 심부에 다수 매설되어 있으나 열악한 지반환경 때문에 지하매설물을 탐지할 수 없는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탐사할 수 있는 지구물리탐사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지구물리탐사방법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연구지역의 열악한 지질환경을 알기 위하여 지반조사를 수행하여 지반환경에 따른 물리탐사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