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 of normal occlusion samples into specific types with factor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to evaluate the range and limit of skeletal relationships that permit the establishment of normal occlusion via natural dentoalveolar compensation. Lateral cephalograms of 294 normal occlusion samples were measured, as selected from 15,836 persons through a community dental health survey who cooperated in record taking. Using a factor analysis, two factors representing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skeletal relationships were extracted from 18 skeletal measurements. Then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e skeletal patterns into nine types. The mean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8 anteroposterior skeletal measurements and 10 vertical skeletal measurements were determined and comparisons of these measurements among the typ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range of normal occlusion included very divers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skeletal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교합자의 전후방 및 수직적인 골격형을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자연적인 치아치조부 보상기전으로 정상교합을 이룰 수 있는 골격의 범위와 한계를 파악하여 교정치료와 수술-교정 복합치료의 경계 증례에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단위 구강 검진 중 15,836명으로부터 선발된 정상교합자 중 검사에 응한 294명의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계측하고, 인자분석을 통하여 18개의 골격계측항목 중에서 전후방적 골격 관계를 나타내는 인자와 수직적 골격 관계를 나타내는 인자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군집분석에 적용하여 정상교합자의 골격형을 9개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문에서는 각 군의 전후방적, 수직적 골격계측 항목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각 군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정상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 관계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