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화경버섯의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생장 및 섬유질분해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ycelial Growth and Cellulolytic Enzyme Production of Lampteromyces japonicus at Various Cultral Conditions

  • 유관희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생명과학과)
  • 발행 : 2003.04.30

초록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능이 우수한 L. japonicus의 균사생육에 미치는 중요 인자에 대한 배양학적 특성을 규명하여 인공재배 및 균사체 배양을 이용한 섬유소분해효소의 생산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균사체 배양의 최적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최적 pH 는 6.0이었다. 균사생장에 적합한 배지는 glucose peptone 배지, malt yeast extract 배지, yeast malt peptone 배지, potato dextrose 배지, Hennerberg 배지 등으로 조사되었다. 균사생장에 가장 양호한 탄소원은 dextrose 였으며, 최적농도는 1.2%이었다. 또한 질소원으로서 균사생장에 가장 양호한 유기, 무기질소원, 아미노산의 종류 및 최적농도는 각각 yeast extract(1.7%), $(NH_4)_2HPO_4(0.2%)$, glutamine(0.2%) 이었다. 균사생장에 양호한 무기염류는 $Al_2(SO_4)_3{\cdot}14H_2O$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최적농도는 0.1 M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data on artificial culture of Lampteromyces japonicus. Favorable media for mycerial growth were glucose peptone medium, malt yeast extract, yeast malt peptone, potato dextrose medium.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30^{\circ}C$ and pH 6.0. Dextrose as a carbon source was favorable to mycelial growth. The optimal dextrose concentration was 1.2%. As nitrogen sources, yeast extract, $(NH_4)_2HPO_4$ and 0.2% for glutamine. The mineral salts of $Al_2(SO_4)_3{\cdot}14H_2O$ were effective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was 0.1 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선, 강태수, 강안석, 손형락, 성재모. 2000. 큰 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균사배양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28(2) 73-80.
  2. 강안석, 차동렬, 홍인표, 장현유, 유승헌. 1994. 개암버섯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22(2): 153-159.
  3. 강태수, 이동기, 이신영. 1997. Phellinus sp.의 분리 및 균사체의 액체배양. 한국균학회지 25(4): 257-267.
  4. 김명숙, 홍재식, 김명곤, 윤숙, 최윤희. 1997. Trametes trogii에 의한 섬유소분해효소의 생산에 있어서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Kor. J. Mycology 25; 68-76.
  5. 김한경, 박용환, 차동렬, 정환채. 1987. 표고버섯 톱밥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15(1): 42-47.
  6. 김한경, 박정식, 김양섭, 차동열, 박용환. 1988. 버들송이의 균사생장 조건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 30(3): 141-150.
  7. 김한경, 박정식, 차동렬, 김양섭, 문병주. 1994. 잣버섯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I)-균사체 배양조건에 관하여- 한국균학회지 22(2): 145-152.
  8. 김한경, 정종천, 장현유, 김광포, 차동열, 문병주. 1997. Pleurotus eryngii(큰느타리버섯) 균의 인공재배 I, 한국균학회지 25(4): 305-310.
  9. 류영현, 조우식, 정기채, 윤재학, 최부술. 2000.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 형성, 한국균학회지 28(1): 11-15.
  10. 민응기, 정광교, 한영환. 1998. 송이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 균사의 생육에 미치는 복합 질소원의 영향, 한국균학회지 26(3): 361-364.
  11. 성재모, 문희우, 박동수. 1999. 액체배양에서 느타리버섯균의 적합한 생장조건 구명, 한국균학회지 27(1): 1-9.
  12. 성재모, 최영상, 부샨 쓰레스타, 박영준. 2002.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균사생장, 한국균학회지 30(1): 1-5 https://doi.org/10.4489/KJM.2002.30.1.001
  13. 유관희, 장형수. 1999. 합성배지에서 Stropharia rugosoannulata 가 생산하는 섬유소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27:94-99.
  14. 장현유, 노문기. 1999. 노루궁뎅이버섯의 종균배양학적 특성. 한국균학회지 27(4): 252-255.
  15. 지정현, 하태문, 김영호, 노영덕. 1996. 목질진흙버섯균 Phellinus linteus의 균사체 생육에 미치는 주요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24: 214-222.
  16. 차동열. 1981. 야생 식용버섯의 인공재배 검토(II). 한국균학회지 9(3): 123-128.
  17. 홍재식, 강귀환. 1983. 합성배지를 이용한 고온성 느타리버섯의 자실체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11(3): 121-128.
  18. Cheong, J. C, Kim, G. P., Kim, H. K., Park, J. S. and Chung, B. K. 2000. Cultural character-istics of veiled lady mushroom, Dictyophora spp. Kor. J. Mycology 28(4): 165-170.
  19. Gilvert, H. J. and Hazlewood, G. P. 1993. Bacterial cellulases and xylanases. J. Gen. Microbiol. 139: 187-194. https://doi.org/10.1099/00221287-139-2-187
  20. Hong, J. S., Lee, K. S. and Choi, D. S. 1981. Studies on Basidiomycetes(1) on the mycelial growth of Agaricus bitorquis and Pleurotus ostreatus. Kor. J. Mycol. 9: 19-24.
  21. Ishikawa, H. 1967.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Lentinus edodes(Berk). Sing. J. Agric. Lab. 8: 1-53.
  22. Kanayama, H., Adachi, N. and Togami, M. 1983. A new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the mycelia of Poria cocos. Wolf. Chem. Pharm., Bull. 31: 1115-1118. https://doi.org/10.1248/cpb.31.1115
  23. Nisizawa, K., Tomita, Y., Kanda, T., Suzuki, H. and Wakabayashi, K. 1972. Substrate specificity of $C_1$\ and Cx-cellulase component from Trichoderma viridae and some of its properties. J. Ferment. Technol. 44: 682-690.
  24. Okada, G. T, Niwa, H., Suzuki and Nisizawa, K. 1966. Purification of a cellulase component from Trichoderma viride and some if its properties. J. Ferment. Technol. 44(9): 682-690.
  25. Park, S. H., Yang, Y. K., Hwang, J. W., Lee, C. S. and Pyun, R. 1997. Microbial cellulose fermentation by Acetobacter xylinum BRC 5.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598-605.
  26. Reese, E. T, Sin, G. H. and Levinson, H. S. 1950. The biological degradation of soluble cellulose derivatives. J. Bacteriol. 59: 485.
  27. Shibata, Y. and Nisizawa, K. 1969. Cellulases of Pseudomonas fluorescens var. cellulosa. J. Ferment. Technol. 47(9): 573-586.
  28. Shim, J. O., Son, S. G., Kim, Y. H., Lee, Y. S., Lee, J. Y., Lee, T. S., Lee, S. S. and Lee, M. W. 1997. The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the mycelial growth of Griofola umbellata. Kor. J. Mycol. 25(3): 209-218.
  29. Shim, J. O., Son, S. G., Yoon, S. O., Lee, Y. S., Lee, T. S., Lee, S. S., Lee, K. D. and Lee, M. W. 1998. The optimal factors for the mycelial growth of Sparasis crispa. Kor. J. Mycol. 26(1): 39-46.
  30. Somogy, M. 1962.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chem. 195: 19-23.
  31. Wood, T. M. and McCrae, S. I. 1972. The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C_1$ component of Trichoderma koningii cellulase. J. Biochem. 128: 1183-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