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OF LIGHT-CURED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BY FTIR

FTIR을 이용한 복합레진의 중합도 비교

  • Lee, Ju-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Ho-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이주현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호원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5.31

Abstract

The degree of conversion of cross-linked polymer has great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mparison of light-cured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of various light-curing systems composed of plasma arc, halogen, LED curing units and pluse-delay curing with FTIR.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From FTIR, the degree of conversion(DC) of composite resin was 34.52-49.31%, DC of composite resin used in Flipo was $39.36{\pm}1.22%$, CrediII $45.64{\pm}1.34%$, XL3000 $43.48{\pm}1.34%$, VIP(mode 4) $44.31{\pm}0.72%$, LUXOMAX $49.31{\pm}2.37%$, Elipar Freelight $44.51{\pm}0.62%$ and $34.52{\pm}0.85%$ in pulse-delay curing. 2. The degree of conversion of composite resin in each light-curing unit was highest DC of the LUXOMAX system, lowest DC of the pulse-delay curing. 3. Compared with other curing system, Flipo, LUXOMAX, and pulse-delay curing were significant difference(p<0.05). 4. In same curing method group, the differences of each light-curing unit were no significace in halogen(conventional) curing method(p>0.05), but significance in plasma arc curing and LED curing method(p<0.05).

치과용 복합레진의 중합률은 레진 기질내의 이중결합의 전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재료의 물리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 및 생체 친화성에 영향을 미친다. 레진의 중합도가 증가하면 취성과 수축이 증가하고 중합도가 낮으면 기계적 물리적 성질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 2종, 할로겐 중합기 2종, LED 중합기 2종, pulse-delay curing의 서로 다른 중합방법의 경우를 FTIR 분석법으로 복합레진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 및 생체친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합률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중합 복합레진의 중합률은 FTIR로 측정하였을 때 34.52-49.31%사이로 나타났으며 플라즈마 아크 중합의 경우 Flipo는 $39.96{\pm}1.22%$, CrediII는 $45.64{\pm}1.34%$로, 할로겐 중합시 XL3000은 $43.48{\pm}1.34%$, VIP의 mode 4 사용시는 $44.31{\pm}0.72%$, LED의 LUXOMAX는 $49.31{\pm}2.37%$, Elipar Freelight는 $44.51{\pm}0.62%$, pulse-delay curing시에는 $34.52{\pm}0.85%$로 나타났다. 2. 각 중합 방법별로 중합률은 LED 중합 방법을 이용한 LUXOMAX가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가장 높은 중합률을 나타냈으며 pulse-delay curing 방법이 가장 낮은 중합률을 보였다. 3. Flipo 중합기, LUXOMAX 중합기, pulse-delay curing 방법이 다른 중합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각 중합방법이 동일한 군 내의 중합기기별 차이에서는 할로겐에서는 광중합기 사이에 중합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플라즈마 아크에서는 CrediII가, LED에서는 LUXOMAX가 중합률이 높았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