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10% CARBAMIDE PEROXIDE ON DENTIN

상아질에 대한 10% Carbamide peroxide가 미치는 영향

  • Seo, Sang-W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own, Yong-Hoon (Department of Biomaterial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Kyo-Han (Department of Biomaterial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서상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권용훈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재료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교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재료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8.30

Abstract

The teeth bleaching with bleaching agent is widely used at recent times. Until yet the exact mechanism of the bleaching agent isn't known but it is thought that is by the complex reduction-oxidation reaction of the decomposed free radical from bleaching agent through various ways. In other words, it is supposed that the teeth are whitened by agent's changing chemical structures of stain-causing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change of the dentinal character by bleaching agent an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is agent. For this study, after applying 10% carbamide peroxide to enamel of human premolar for 6 hours a day for 2 weeks we examined changes of surface morphology, microhardness, composition and contents of minirals in human dentin using SEM, microhardness tester, FT-Raman spectrometer and EPMA and got following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face morphologic change when we examined the effect of 10% carbamide peroxide which penetrated into dentin after applied on enamel surface comparing with result from specimen in distilled water No change was shown on the surface of peritubular and intertubular dentin within the nanometeric range. The microhardness between bleached teeth and teeth stored in distilled wate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T-Raman spectra of dentin exhibited no change of the component in human dentin. Only the least change in peak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were detected in Raman intencity. The total content of mineral elements in dentin with no treatment, stored only in distilled water and stored in distilled water after bleaching were $98.73{\pm}1.89,\;98.56{\pm}2.11\;and\;97.47{\pm}2.51$ respectively. Also the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bove results, the effect of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on structure of dentin is very low and the results may confirm the safety of this bleaching agent.

최근 들어 심미적 목적으로 치아 미백제를 이용한 치아 미백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치아 미백제의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미백제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해된 free radical의 복잡한 산화작용에 의한 것으로, 치아변색의 원인물질의 화학적 구조가 바뀌어짐으로써 희게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미백제에 의한 상아질의 특성변화를 관찰하고 미백제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 carbamide peroxide를 1일에 6시간 2주동안 사람의 소구치 법랑질에 적용한 후 상아질에서 나타나는 형상변화, 경도변화, 조성변화 및 무기질 함량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EM), 미세경도기, FT-Raman 분광기 그리고 전자탐침미세분석기(EPM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법랑질 표면에 도포한 10% carbamide peroxide가 상아질로 침투하여 미친 영향은 증류수에만 담가둔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형상변화의 측면에서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Peritubular dentin과 intertubular dentin의 표면에서는 nanometer range에서 아무런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미백처리한 치아와 증류수에만 담가둔 치아의 상아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FT-Raman 분석결과 상아질 구성성분 중 어떤 변화도 분광학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유기질에 의한 peak와 무기질에 의한 peak 모두 무시 할 수 있을 정도의 Raman intensity 변화만 관찰되었다. 무기질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치아의 상아질, 증류수에만 담가둔 치아의 상아질 그리고 미백후 증류수에 담가둔 치아의 상아질에서 무기질 총량이 각각 $98.73{\pm}1.89,\;98.56{\pm}2.11,\;97.47{\pm}2.51$로 나타났다. 이들 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이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약하다고 판단되어 상아질에는 안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